d라이브러리
"주"(으)로 총 3,6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것만으로도 환자의 상태 악화를 막을 수 있다. 최근 ‘캔서 테이밍(암 길들이기)’으로 주목받고 있는 연구 분야다. 온코크로스는 현재 서울과 부산 등 3개 대학병원에서 임상 환자들과 전이 억제제의 효능을 추적 관찰 중이다. 김 대표는 2015년 이후 임상 의사와 온코크로스 대표직을 5년 넘게 ... ...
- [과동키즈] “꿈이 있다면, 자신을 믿고 도전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시도가 수백 년 후엔 전 인류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일. 그것이 기초과학이다. 우주가 어떻게 존재하는지, 그 기저에 뭐가 있는지 알고 싶다면 도전하자. 여전히 우리를 기다리는 미지의 세계가 있고 우리의 지적 가능성은 무한하다. 그리고, 아마도, 먹고 사는 데 큰 지장은 없을 것이다 ... ...
- 인간 나이로 몇 살일까? 반려견 나이 변환 공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패턴과 비슷해졌다. 연구팀은 래브라도 리트리버의 나이를 넣으면 인간 나이로 환산해주는 공식도 만들었다. 이 공식은 래브라도 리트리버를 기준으로 만든 방정식이라서 다른 개의 인간 나이와는 다를 수 있다 ... ...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포르말린을 쓰지 않는 도금 약품 연구를 시작해 2019년부터 양산을 시작했다. 현재 국내외 주요 전자기기 제조 기업에 공급 중이다. 이렇게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이유는 세계 여러 국가와 기업에서 친환경 정책을 시행하기 때문이다. 홍 본부장은 “EU에서는 오래전부터 6가 크롬 사용을 ...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모든 것이 너무 당연하다는 듯, 별다른 동요 없이 이야기했다.“하지만 정보국이 뒤를 봐주는 사람들은 매우 한정적이야. 그래서 자네가 특별 대우를 받는다고 이야기한 거야. 자네는 유명한 정치인이나 기업인도 아니지 않은가. 이제 곧 미래의 자네가 살인을 저지를 시간일세. 이 역시 임무라는 걸 ... ...
- 별난 생물 이름 어떻게 지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되었어요. 학명은 종의 겉모습을 따서 짓는 경우가 많아요. 2015년, 인도의 카르나타카 주의 숲에서 발견된 한 거미에게는 ‘에리오빅시아 그리핀도리(Eriovixia gryffindori)’라는 학명이 붙었어요. 겉모습이 영화 에 나오는 마법사 모자를 닮아, 호그와트를 창립한 고드릭 그리핀도르의 ... ...
- 실험실, 채굴장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원석은 광택이나 투명도 등 보석용으로 사용하기엔 품질의 한계가 있어요. 그래서 주로 공업용 다이아몬드를 만드는 데 사용되지요. 원석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1990년대에는 ‘화학기상증착법’이 개발됐습니다. 화학기상증착법은 진공 상태의 챔버에서 플라즈마로 메탄 가스를 분해해 ... ...
- [출동, 슈퍼M] 초등학생의 평균 용돈은 얼마일까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2호
- 쪽과 함께 보세요! 친구들과 함께 탕후루를 사 먹으려고 했는데, 지갑을 열어보니 이번 주 용돈을 이미 다 써버렸지 뭐예요. 용돈은 어떻게 관리하는 게 좋을까요? 또, 저와 같은 초등학생들은 보통 용돈을 얼마 정도 받는지도 궁금해요! 용돈 관리 꿀팁은? 용돈은 어디에 어떻게 사용할지 ... ...
- [이달의 과학사] 사람을 태우고 둥실! 열기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매어 둔 채, 15분가량 하늘에 떠서 최고 약 76m까지 올라간 뒤 안전하게 착륙했지요.몇 주 뒤인 11월 21일, 필라트르는 프랑스의 왕 루이 16세가 보는 앞에서 또 다른 탑승객인 다르랑드 후작과 함께 최초로 밧줄 없이 파리 상공 950m까지 올라 약 9km 거리를 25분간 비행하는 데 성공합니다. 사람이 열기구를 ... ...
- [기획] 약, 잘 먹고, 잘 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소각돼야 해서 일반쓰레기 봉투에 넣어 버려도 안 돼요. 그래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주민센터, 보건소 등에 폐의약품 수거함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공공데이터포털이나 각 지역의 보건소 홈페이지에서 수거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답니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