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줏빛
자주빛
보랏빛
보라
보라색
오랑캐꽃
제비꽃
d라이브러리
"
자주색
"(으)로 총 67건 검색되었습니다.
펄떡펄떡~! 살아 숨쉬는 습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이재춘) | 전남 남해안의 순천만에서 자라는 칠면초는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점점 붉은
자주색
으로 변하는 한해살이 풀이에요. 그래서 갯벌을 알록달록 아름답게 물들인답니다. 특선 - 산란의 순간(김광득) | 습지는 지하수와 지표수를 머금어서 홍수와 가뭄을 줄이는 역할을 해요. 새로 태어나는 ... ...
‘숨겨진 보물’ 감자, 킹왕짱!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개발됐다.특히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는 지난해 속까지 붉은 ‘홍영’과
자주색
인 ‘자영’ 같은 컬러감자를 개발해 상품으로 내놓았는데, 컬러감자의 추출물은 기존 감자에 비해 항산화성이나 항균성이 월등히 뛰어나 앞으로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 ...
썰렁홈즈의 만우절 가짜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빛을 받으면 노란색으로 변한다. 즉 이 색소를 입힌 종이나 필름은 처음에는
자주색
을 띠고 있지만 위조를 하기 위해 칼라복사기나 스캐너에 넣고 복사하게 되면, 노란색으로 변하는 것! 복사기와 스캐너에서 나오는 밝은 빛이 일시적으로 종이와 필름을 노랗게 만들기 때문이다. 즉 색깔의 변화로 ... ...
PART1 터키 행진곡은 붉은색!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색깔이 보입니까? 예를 들어 글자 ‘가’를 보면 ‘노란색’이 보이고 숫자 ‘5’에서 ‘
자주색
’이 느껴짐.1) 그렇다. 비슷한 경험을 했다.2) 아니다. 그런 경험을 한 적이 없다.2. 요일이나 달에서 특정한 색상이 떠오릅니까? 예를 들어 ‘7월’에서 늘 ‘바다쪽빛’이, ‘수요일’에서 항상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7월에 하얀색의 꽃을 피워 해변의 풍경을 한층 멋있게 해준다●갯메꽃6월에 피는 연
자주색
꽃은 신두리해안사구의 경관을 빛내 준다.●갯방풍 키가 작고 털이 촘촘하게 나 있으며 6~7월에 흰 꽃을 피운다. 쉽게 볼 수 없는 희귀한 사구식물이다.●순비기나무 모래 바닥에서 자라며 옆쪽으로 뿌리를 ... ...
가을들판 三色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나왔으리라고 추측해왔다. 실제로 최근 연구결과 청포도의 과실색은 붉은색이나
자주색
을 띠는 색소인 안토시아닌을 합성하는데 관여하는 유전자인 VvMYBA2에 돌연변이가 생긴 결과임이 밝혀졌다.안토시아닌을 함유한 과일은 짙은 색으로 동물들을 끌어들여 씨앗을 퍼뜨린다. 따라서 포도껍질에 ... ...
너는 너무 물질적이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쉽고 방충제로 이용된다. 요오드는 광택이 있는 어두운 갈색 결정으로, 승화하면 기체는
자주색
을 띤다. 독성이 강하며 바닷말에 많이 들어 있다.클릭! 퍼즐 살아 있는 실험실라면을 먹으며 과학을 생각해!신나는 과학 요리 시간이야. 오늘 준비한 재료는 요리라고 하기에는 조금 머쓱한 라면 한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보여주고 있는 수채화다. 세포의 유전물질은 빨강과 오렌지색으로, 세포질은 파랑과
자주색
으로, 세포막과 관련 단백질은 녹색으로, 마지막으로 혈액은 갈색과 노란색으로 표현됐다. 이 그림은 미 라호야에 위치한 스크립스 연구소 내 통합 분자 생물학 센터의 입구를 꾸미기 위해 제작된 것이다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서 ‘밤의 여왕’ 의 꽃잎도 검은색이 아니라 아주 짙은
자주색
이다. 그렇다면 검은 튤립은 불가능의 영역인가.네델란드 국제꽃구근센터의 기술담당 프란츠 루젠은 “진짜 검은색이 나오려면 어떠한 색조도 가져서는 안되는데 이는 식물이 죽었을 때나 일어날 수 있는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관리 등 백관의 공복을 정해 색에 순위를 매겼다. 심지어 악공과 무용가들까지 붉은색·
자주색
·노란색·푸른색·갈색 등 염색된 옷을 입는 등 염색기술은 전성기를 맞는다. 이런 사실은 고구려, 백제의 고분벽화나 신라의 천마도에서 증명한다. 고려는 삼국의 우수한 염색기술을 바탕으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