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입문"(으)로 총 1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그는 “개념과 문제 풀이를 병행해 공부했다”며 “대학교 교재, 심지어 의·치의학교육입문검사인 미트(MEET)나 디트(DEET) 문제까지 풀면서 공부했다”고 말했다. 그 결과 1학년 때 중위권이었던 성적이 마지막에는 상위권으로 올랐다. 하지만 화학생물공학부에 입학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 ...
- 경희대 네오프런티어장학생 유승윤 - “독하게 독서해 융합형 인재 어필”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이 점을 강하게 어필했다”고 말했다. 유 씨는 인문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을 위한 입문서로 ‘인문학 콘서트’ 시리즈를 추천했다. 그는 “독서토론 동아리 활동의 중심이 된 책”이라며 “특히 인문학에 대한 기초가 부족한 이공계 학생이 출발점으로 삼기 좋다”고 말했다. 그는 독서를 ... ...
- [Culture] ‘승리 요정’ 되려면 강속구로 승부하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전당에 오르는 스타가 되는지 소개한 적이 있다. 당시에도 빅데이터를 통해, 프로야구 입문 초기에 출전기회를 많이 갖는 선수들이 더 오랜 기간 꾸준히 좋은 성과를 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각 선수의 출전기회를 비슷하게 조정해 시뮬레이션하면, 평균보다 조금 더 잘하는 선수들은 계속 나오지만 ... ...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뛰어넘을지도 모를 가수를 아직도 모른다면 시대에 뒤처질지도 모른다. 입문자를 위해 핵심만 정리했으니 늦기 전에 방탄 세계를 따라잡아 보자. 방탄 유니버스는 현실에 상처받는 일곱 소년의 이야기다. ‘화양연화 pt.1’에 처음 등장한 아이들은 함께 있을 때 가장 행복하고 괴로움을 잊게 하는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논의돼야 할 쟁점과 이슈를 제시한다.책을 옮긴 홍성욱 한밭대 교수는 이 책을 ‘경제 입문서’라고 소개한다. 신기술로 인해 화폐의 정의가 변한다면, 주식을 공부하기 보다는, 미래 화폐가 무엇인지 아는 것이 재테크 ‘꿀팁’일테니 말이다. 책의 원제목은 ‘화폐의 종말(The End of Money)’이지만 ... ...
- 최초의 미적분학 입문서,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출판된 수학책은 대부분 라틴어로 쓰여 있었고 어려운 수학이론을 쉽게 설명한 입문서도 없었으므로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은 분명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됐을 겁니다. 책이 나오자 프랑스 아카데미 소속 장 메랑, 알렉시 콜레로, 장 달랑베르는 “미적분학을 이루는 거의 모든 발견을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못했지만, 아버지는 그의 자질을 알아차리고 그를 피렌체에서 가장 번성한 공방에 입문시켰다. 그런 그가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건 서른이 되면서부터였다. 1482년 레오나르도는 당시 밀라노의 통치자인 루드비코 스포르차 공작에게 자신을 추천하는 추천장을 썼다. 그는 스포르차를 ...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해밀턴, 1995년, 172쪽)을 소개하는 논문이었다. 사십이 훌쩍 넘은 나이에 진화유전학에 갓 입문한 사람이 이 분야에 길이 남을 탁월한 업적을 거짓말처럼 세운 것이다. 그 이상한 수식을 들여다보자.마술사의 모자에서 튀어나온 토끼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하다고 암시하는 해밀턴의 1964년 논문을 ... ...
- [핫이슈] 나는야 바둑왕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일석이조 바둑 프로그램이지요.바둑을 하나도 몰라서 걱정된다고요? ‘나는야 바둑왕’ 입문편은 바둑을 전혀 모르는 사람도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어요. 최근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친절한 찬우쌤의 설명에 따라 간단한 용어부터 배워나가면 된답니다.게다가 강의를 들으면서 바로 바둑 ... ...
- [Tech & Fun] 중소기업 연구의 해결사 슈퍼컴, 최적의 설계를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드론 시장에서 국내 기술로 만든 입문자용 드론을 선보이고 싶었다. 특히 대다수의 입문자용 드론은 배터리 문제로 비행시간이 10분도 채 되지 않았다. 날개의 양력을 극대화시켜 비행시간을 늘려 줄 필요가 있었다. 문제는 시간과 비용이었다. 날개를 새로 개발하려면 풍동실험을 여러 차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