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왕위
왕좌
옥좌
성좌
d라이브러리
"
임금자리
"(으)로 총 69건 검색되었습니다.
버팀목 줄기 감아 고사시키기도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사람사는 사회나 나무사회나 어디에나 얌체족은 있다. 이들은 아무리 없애려 해도 좀처럼 없어지지 않는다. 특히 나무의 생존 필수조건인 햇빛과 물의 공급을 막는 나무나라 얌체족들은 애교로 보아 넘기기엔 그 피해가 너무 크다. 나무사회의 대표적 얌체족들인 칡과 등나무, 겨우살이가 어떻게 ... ...
박치기 명수 거북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임진왜란의 역사를 읽다보면 제대로 저항 한번 못하고 처참하게 무너지는 육군의 무기력함에 심한 분노와 좌절감을 느낀다. 그래도 우리의 자존심을 조금이라도 살려준 싸움은 이순신 장군이 이끈 해군의 승리일 것이다. 승전보의 한가운데는 이순신 장군의뛰어난 전술이 있었지만 거북선을 비롯 ... ...
두나무 가지 이어져 한 몸 된 연리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두나무가 오랜 세월 붙어 자라면 두가지가 이어져 한나무가 되는 연리지가 된다. 이 현상은 몇백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 하는 매우 드문 현상이다. 연리지에 숨어 있는 귀한 인연의 속사정은 무엇일까. 가까이 자라는 두나무가 맞닿은 채로 오랜 세월이 지나면 서로 합쳐져 한나무가 되는 현상을 ... ...
토정비결 과학인가 재미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새해가 되면 사람들은 운세를 점치는 일에 한번쯤 관심을 갖는다. 그런데 이런 현상을어떻게 바라봐야 하는 것일까. 새해가 되면 토정비결이 인기를 끈다. 한해 운세를 알아보기 위해서다. 아무리 과학이 발달해도 예나 지금이나 사람의 마음은 약하고, 더욱이 요즘처럼 세상이 어수선하다 보니 앞 ... ...
경복궁(景福宮) - 근정전에서 소리가 잘 퍼지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경복궁은 역사나 미술을 공부하는 곳으로만 여겨진다. 그러나 이곳도 과학의 배움터가 될 수 있다. 경복궁에서 과학적인 질문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것들이 있을까.지난해 겨울 중학생을 데리고 탐방을 했을 때였다. 그날따라 바람도 매서웠고 기온도 매우 낮았다. 그런데 경복궁 근정전에 ... ...
봄밤 하늘에서 만난 이도령과 성춘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봄밤 하늘에도 견우와 직녀처럼 다정한 별이 있다. 청룡의 뿔을 나타내는 대각성과 각성이 그들이다. 전라북도 남원에서는 이들을 각각 몽룡별과 춘향별로 지정했다. 밤하늘을 보며 나눌 운치있는 우리 얘기가 또 생겼다.4월의 밤하늘은 봄철 별자리의 세상이다. 물론 이른 저녁 밤하늘엔 겨울철 ... ...
봄비와 함께 찾아온 누런 용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봄을 알리는 사자자리는 동양에서는 누런 용, 즉 황룡으로 등장한다. 바로 헌원 별자리다. 옛 전설에는 용이 몸을 한번 틀면 비가 온다고 하는데, 헌원이 나타난 봄에 비가 오는 것도 이 때문일까.3월의 밤하늘은 봄철 별자리들이 서서히 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봄이 왔음을 알리는 별자리하 ... ...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서양신화 속의 사냥꾼 오리온은 동양에서는 삼수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때로는 물통을 지고 가다 발목이 삔 아가씨의 모습으로, 때로는 노인에게 술따르는 술됫박으로.눈길을 북쪽하늘로 향하면 1년 내내 볼 수 있는 별들이 보인다. 별들은 하루에 한바퀴 북극성을 중심 ... ...
하늘이 내린 영웅의 상징 삼태성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서양 큰곰자리에는 우리네 별자리인 북두칠성과 삼태성이 숨어있다. 북두칠성은 국자 모양을 하는 탓에 누구에게나 친숙하다. 그런데 북두칠성 국자가 찌그러진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 또한 우리의 삼태성은 오리온자리의 삼태성과 다르다는데….별자리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양치기들이 광야에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수학자들은 가장 적합한 것을 찾아야 풀리는 현대의 문제들을 수학 없이는 해결하기 어렵다고 주장하는데….수학이 걸어 온 길을 통해 그 타당성을 살펴보자.기원전 3세기경 이탈리아 시칠리섬의 시라쿠사에는 아르키메데스(287-212 B.C.)라는 유명한 학자가 살았다.그는 임금인 히에론에게 수학을 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