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넘이
석양
낙조
해질때
해질녘
저녁놀
저녁볕
d라이브러리
"
일몰
"(으)로 총 70건 검색되었습니다.
13일 밤 고흐의 보름달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그림 속 붉은 둥근 천체를 보고 어떤 사람은 ‘월출’이라고 하고 또 어떤 사람은 ‘
일몰
’이라는 상반된 의견을 내놓기도 했습니다.올슨 교수는 ‘스카이 앤드 텔레스코프’ 7월호에 그림에 나오는 절벽과 달인지 해인지 모를 둥근 천체의 위치 등을 고려한 결과 이 천체가 1889년 7월 13일 밤 9시 ... ...
③ 배아복제 금지법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요인은 ‘모라토리엄’이다.생명과학 특성 반영한 모라토리엄문자 그대로 해석해서
일몰
(日沒)규정으로 부르기도 하고 경과규정이나 유예규정이라고도 하는 모라토리엄은 최근 여러나라에서 배아복제와 관련해 법률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한 예로 호주 하원 위원회는 2001년 배아복제에 대해 3년 ... ...
태양계 7대 비경 관광가이드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내의 스크린에는 수성에 대한 정보가 흐른다. “한낮에는 영상 4백℃가 넘게 치솟지만,
일몰
후에는 영하 1백50℃ 이하로 떨어집니다. 수성의 이런 온도 변화는 행성들 중에서 가장 큽니다.”범수는 우주선 창밖으로 펼쳐지는 수성의 모습을 처음 보고 깜짝 놀랐다. 표면이 온통 크레이터(충돌구덩이) ... ...
발빠른 수성 5월 22일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있다. 즉 5월 10일 경부터 5월 말 정도까지 볼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 기간 중 수성은
일몰
시 고도가 16°를 넘는다. 하루하루 수성의 위치를 그려보며 궤적을 밟아보는 것도 흥미있는 관측이 될 것이다.극대기 막바지인 태양을 보자태양의 흑점은 11년의 주기를 가지고 변화한다. 지난 1989년 ... ...
한낮에 흑점 관측하는 요령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볼 수 있다. 서울 하늘을 뒤덮고 있는 오염이 나쁘긴 해도 두꺼운 먼지층이 때론 멋진
일몰
을 보여준다. 요즘처럼 태양활동이 활발해 커다란 흑점이 자주 생겨날 때 눈으로 보아 부담되지 않을 정도로 빛이 약해진 태양을 주의깊게 살펴보면 흑점을 볼 수 있다. 해질 무렵 서쪽지평선 위로 낮게 깔린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잘 챙겨 입고 관찰해보자. 서쪽하늘에서 아름다움 뽐내는 비너스1월 초저녁 하늘에는
일몰
때 서쪽에서 유난히 밝게 빛나는 ‘별’이 보인다. 사실 이것은 미의 여신 금성이다. 17일에는 지구에서 볼 때 금성이 해에서 동쪽으로 가장 멀어지는 날이다. 그래서 해가 진 직후 금성의 고도는 약 40°나 될 ... ...
7월 16일 밤 10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월식의 서막은 월출 약 5분 뒤인 19시 46분에 반영식으로부터 시작된다. 하지만 이때는
일몰
(19시 53분) 전이고 달도 지평선상에 있어 식의 시작을 느낄 수 없다. 진정한 의미에서 식의 시작은 달의 일부가 지구의 본영 속으로 들어가며 부분식이 시작되는 20시 57분부터이다. 이 시각 이후부터 달은 ... ...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찍어 찾는 것이다. 햐쿠다케를 포함해 150mm 쌍안경을 사용하는 일본의 안시 탐색자들은,
일몰
후와 일출 전 약 2시간 동안 해가 지나는 길인 황도를 중심으로 좌우 45도, 수직 방향으로 30도 영역인 약 5천4백평방도의 하늘을 집중 조사한다. 이들은 탐색을 시작해서 평균 4백시간 이상을 보낸 뒤 첫 ... ...
3월 하늘의 북두칠성 시계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10일까지 초승달이 이 행성들 사이에 더해져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낸다.이 시기 3일간
일몰
40분 뒤인 오후 7시20분 무렵에 관찰하면,초승달이 매일 조금씩 차오르면서 이들 세 행성과 차례로 만난다.서쪽의 하늘이 지평선 부근까지 틔어있는 장소에서 지상 배경과 함께 촬영해 사진으로 남겨보자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아름다운 사진을 얻을 수 있다.이 경우 촬영은
일몰
약 30분 전후가 가장 적당하므로
일몰
30분 전까지 장소에 도착해서 준비를 마쳐야 한다.2.확대 촬영천체 망원경의 직초점 촬영과 필름에 비치는 달의 크기는 대체로 렌즈 초점거리의 약1/100크기이다.초점거리 1000mm의 렌즈로 필름상에 지름9.8mm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