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거리
노정
총 마일수
마일리지
마일수
d라이브러리
"
이정
"(으)로 총 75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대전화 열로 다시 전기 만들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휴대전화를 오래 쓰고 있으면 점점 뜨거워진다. 배터리에서 나오는 전력이 모두 휴대전화를 가동하는 데 쓰이지 못하고 열로 손실되기 때문이다. 낭비되는 ... 오하이오주립대 조셉 헤르만 박사는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3ZT 물질을 찾는 데 중요한
이정
표를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 ...
10화 세계를 바로잡는 첫 발, 다시 학교로!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구해 보자!”문제 ❹ 망가진 탬버린 수식을 원상복귀 시켜라!주민 코드를 입력하고
이정
표를 따라 학교 앞까지 찾아 온 폴 일행. 하지만 교문이 굳게 잠겨 들어갈 수가 없었다. 폴 일행은 난감하기만 했다.“예전 세계에서는 선생님 몰래 드나들던 쪽문이 있었는데…. 한번 가 볼까?”하지만 폴이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전력량의 1000배에 달하는 양이다.국립점화설비연구소는 이날 “과학적으로 중요한
이정
표를 넘었다”고 자평했다. 1.8MJ이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레이저의 최소 에너지이기 때문이다. 레이저 핵융합 기술은 1960년대 레이저가 처음 발견된 이래로 1970년대에 들어서야 제창됐다. 또 다른 핵융합 ... ...
수학일기는 나만의 포트폴리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실력은 높지만 수학에 대한 호감도는 낮다. 잘하지만 좋아하지는 않는다는 얘기다. 수학의 재미를 모르기 때문에 나오는 현상이다. 수학일기는 수학으로 말하고 표현하면서 수학의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좋은 도구다. 수학을 즐기다 보면 실력도 자연스럽게 늘게 된다.일기 ... ...
마르지 않은 태안의 검은 눈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찾아가는 듯 보였던 태안은, 아직 마르지 않은 검은 눈물을 닦고 있다.“만리포 4km”
이정
표를 지나치는 순간 하늘에서 눈이 나풀나풀 내리기 시작했다. 좁다란 국도 저 끝 너머 수평선이 살짝 보였다. 그동안 태안은 어떻게 변했을까.만리포해수욕장에 도착하자 ‘누가 검은 바다를 손잡고 마주 서서 ... ...
인디언들은 초신성 폭발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스피카보다 훨씬 더 중요한 자리를 차지했다. 고대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황도의
이정
표이면서 가장 높이 떠 있는 알데바란을 특별히 ‘사타브스’(Sataves, 별들의 지도자)라고 불렀다.1000년 전 폭발한 초신성의 잔해알데바란에서 시선을 조금 위로 올려보면 황소 머리 끝부분에 제타별이 있다. 이 별 ... ...
천재 미디어 아티스트 백남준을 추모하며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마르셀 뒤상 이후 현대미술사를 되짚어 보는 일인지도 모른다. 그만큼 그는 현대미술에
이정
표를 세운 작가이기 때문이다.백남준은 1932년 7월 20일 서울 종로구 서린동 45번지에서 3남 2녀 가운데 막내로 태어났다. 부친 백낙승은 해방 후 최대 섬유업체인 태창방직을 운영한 무역상이었다고 한다.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언젠가는 꿈의 약물전달시스템인 나노로봇이 실현될 것이고, 이는 질병치료에 중요한
이정
표가 될 것이다. 많은 젊은 과학자들이 이 분야에 도전해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의 상황이 ‘본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게 노력하길 바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0년 뒤는 나노바이오기술이다 ... ...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최재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다시 메우기란 쉽지 않았다. 그러나 정말 뜻있는 자에게 길이 있는 것일까. 인생의
이정
표가 돼 준 에드먼즈 박사의 적극 추천으로 미국으로 유학길이 열린 것이다. 당시 에드먼즈 박사의 추천서에 ‘뭔가 하나 시작하면 큰일 저지를 사람이니 잘 보살펴달라’ 는 당부가 적혀 있었다고 한다.1979년 ... ...
핵가족 선호하는 도마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학자들은 이번 연구가 생물에게서 사회성이 어떻게 진화하는지 설명하는데 중요한
이정
표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호주 시드니대 리처드 샤인 교수는 핵가족을 이뤄 사는 최초의 파충류를 발견해 ‘분자생태학회지’ 3월호에 발표했다. 에게르니아 삭사틸리스라는 이 파충류는 호주 남동부의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