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기본위
사리
사욕
이기주의
자애
자기 본위
야욕
d라이브러리
"
이기심
"(으)로 총 43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쉼쉬는 녹색의 도시 --유럽의 환경생태도시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강은 인간 외에는 아무 생물도 살지 않는 죽음의 강이 되었단다. 인간만 편하게 살겠다는
이기심
이 재앙을 불러온 거지.강이 죽어 버리면 사람도 결국 살 수 없단다. 그래서 선진국은 도시의 강을 다시 살리려는 노력을 많이 하고 있어. 이 슈프레발트처럼 말이야. 슈프레 강 역시 독일의 공업화로 ... ...
3. 사랑은 변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성행동은 심리적 혼란의 산물이다. 단순한 성충동 외에 자신의 남성성을 표출하기 위한
이기심
또는 단순한 성적 호기심을 채우기 위한 행동일 위험이 크다.여학생은 친밀도를 높이려고 성관계를 갖지만 일단 성관계를 맺고 나면 육체적인 탐닉에 매몰돼 둘 사이가 멀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 ...
특수효과로 누리는 재난영화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지키려는 아버지와 사위의 아름다운 화해가 연출됐다. 코어에서는 지난 수십년 동안
이기심
으로 똘똘 뭉쳐있던 짐스키 박사와 친구라기보다는 원수에 가까웠던 브레즐턴의 화해가 이뤄진다.재난영화 기법의 마지막은 잘못된 과학 지식의 남발이다. 재난영화에 특수효과가 사용되는 목적은 ... ...
인간의 협력관계 설명하는 물리학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딜레마가 존재하는 인간 사회나 동물의 세계에서 협력이 이뤄지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기심
이 결국 자신을 망친다는 것을 알기 때문일까. 잠깐 생각해보면 이것은 답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배반자가 되고자 하는 유혹은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어떻게 ... ...
양자 감옥에서 사라지는 죄수 딜레마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고전적인 죄수 딜레마 게임에서는 참가자들이 사전에 아무리 오랫동안 의논하더라도
이기심
으로 말미암아 서로가 서로를 배신한다. 결국 모두 오랜 세월을 감옥에 갇혀서 보내게 된다. 그들은 고전 게임에서와 마찬가지 행동을 양자 게임에서 할 수 있다. 그러나 중첩과 얽힘에 의해 훨씬 더 괜찮은 ... ...
오픈소스 문화의 영웅들 리눅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자는 것. 원래 오픈소스 운영체제로 출발한 유닉스가 기업들의
이기심
때문에 엉뚱한 방향으로 왜곡됐다는 주장이다. 그는 “소프트웨어의 복제, 수정, 재배포는 자유로워야 하고 이를 방해하는 어떤 제약도 사라져야 한다”고 외쳤다.스톨만이 주도한 FSF와 GNU는 저작권 ... ...
2 '과학자 우대' 옛말, 행정눈치보는 샐러리맨 전락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그 어떤 문제 보다도 우선해 과학자들의 사기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은 종사자들의
이기심
차원으로 해석되서는 안된다. 세계는 지금 기술전쟁중이다. 국경의 개념이 모호해진 가운데 각국은 자국의 산업과 기술 경쟁력 확보에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두고 새로운 질서를 대비하고 있다. 바야흐로 ... ...
(4) 지구 떠나 새 행성을 살 곳으로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이미 지옥과 같은 세상을 살고 있다는 내용인데, 서두에서 언급한 바대로 인간의
이기심
이 앞으로의 세상을 더욱 공해와 공포로 혼란스럽게 만들 것은 틀림없을 것이다. 문명의 결과 미리 알려주는 경고그러나 이타심을 발휘하도록 만들어진 사회제도 그리고 사회생활을 하는 동물의 본능 속에 ... ...
(1) 생태계 황폐화, 더 이상 살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때문만은 아니다.인간이 발명한 문명은 이미 그 자신의 독특한 법칙을 지닌 채 인간의
이기심
에 내재해 있기 때문에 이제 인간이 존재하는 한 문명은 존재하며 또 이기적인 방향으로 진화할 것이다. 인간의 미래에 대한 문제는 이 지구가 언제 문명의 독소를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평형으로 돌아갈 ... ...
4. 기존 권위에 도전하는 비판정신 길러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그 힘을 잃거나 제어능력을 상실했으며 오직 각 개인의 본능과 각 개별 집단들의 집단
이기심
에 맡겨버리는 결과가 되고 말았다. 한 마디로 이러한 위기상황은 현대의 과학기술에 힘입어 인간의 행위능력이 엄청나게 커진데 비해 '적절한 행위가 무엇인가'에 대한 인간의 판단기준, 즉 그 세계관 및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