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모든 물질의 출발점에 다가서는 입자 생성 매커니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필자소개서진주. 인하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다. 앨리스 실험에서 검출기 시뮬레이션과 맵시 쿼크를 포함한 입자들을 연구하고 있다. seo@physi.uni-heidelberg ... ...
- 빙하 녹는 속도 알려주는 푸리에 법칙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사용한 이론은 덩어리지어 흐르는 유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여과 이론’과, 무작위로 형성된 배관이나 전기 저항을 설명하는 ‘랜덤 파이프 네트워크 이론’이다. 소금물이 빙하 속 빈 공간을 이동하는 현상이 마치 모양을 알 수 없는 복잡한 배관을 통과하는 것과 비슷해서다. 골든이 2007년에 ... ...
- 좀비를 만나면 일단 뛰어라!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내리는 현상을 설명할 때 주로 쓰인다. 울리는 최초의 좀비 7명이 아래 그림과 같이 왼쪽 위에 모여 있다고 가정하고, 랜덤 워크 이론을 적용했다. 그러자 아래 그림처럼 좀비들은 서로 제멋대로 움직이면서 사방으로 흩어졌다. 연구팀은 일정한 면적 안에 좀비가 얼마나 많은지도 따졌다. 브라운 ...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칩 대신 유연한 실을 사용해 뇌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64개의 실 가닥을 여러 부위에 심어 뇌파 측정 반경을 넓힐 수 있다. 김성필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는 “BCI는 성장 속도가 빠른 기술 분야 중 하나였는데, 기존 하드웨어로 얻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제한적이라 어느 순간 정체된 ... ...
- [통합과학 교과서] 개과천선한 놀부, 다시 화낸 사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연구해 스티브가 어떻게, 왜 나타나는지를 연구했죠. 연구팀은 전하를 띠는 입자가 위도이상의 지역에서 지구 자기장에 의해 동쪽에서 서쪽으로 빠르게 이동할 때, 뜨거운 열이 발생하면서 생기는 현상이 스티브라는 걸 밝혀냈어요. 스티브 아래에 피켓 울타리가 생기는 것도 스티브를 만드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동전 먹는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함께 열렸기 때문에 전동기는 계속 작동합니다. 전동기의 회전축이 한 바퀴 돌면, 차단 스위치가 눌린 로봇은 다시 동전을 올릴 때까지 기다린답니다. 알아 보자! 한국은행에서는 로봇이 돈 옮긴다! 한국은행은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으로, 화폐를 발행하는 유일한 기관입니다. 주로 시중에 유통되는 ... ...
- 침투 이론으로 산불 진행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더 빨리 번지고, 더 많은 나무가 불타 버린다. 다시 말해 불이 붙은 나무가 있는 육각형 주위의 모든 칸에 나무가 있다면, 산불은 산 전체로 빠르게 퍼지고 산불 진화 후에 살아남는 나무는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우리나라의 산은 대부분 나무가 빽빽이 모여 있어 p가 1에 가깝다. 따라서 ... ...
- “공학도로서 연구자 평가제도 다각화에 기여하고파”_박충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시스템을 보완하고 싶습니다. 현재는 평가 기준이 논문에 치중돼 있어서 성과를 내기 위해 연구자들은 임팩트 팩터(IF)가 높은 논문을 쓰는 데에 집중합니다. IF가 높은 논문을 쓰려면 새로우면서도 핫한 분야의 연구를 진행해야 하다보니 대학원생의 전공이 한국 제조업 기반 기업들의 기술과 많이 ... ...
-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줄무늬,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뇌 구조를 개별 뉴런 단위로 그린 트랙토그램(tractogram)은 ‘과학의 눈’으로 포착한 경이로운 이미지 150여 개의 일부다. 이 이미지들에서 시작된 과학적, 사회적 변화까지 함께 읽으면 ‘과학의 눈’은 우리의 눈이 될 것이다 ... ...
-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보완했다. 3차원 구를 감싸고 있는 2차원의 구면을 최대한 같은 간격의 격자로 나누기 위해 ‘육면체구’ 모양을 사용했다. 육면체구를 볼록 사각형 6개로 나누면 거의 같은 간격으로 조각낼 수 있어 계산의 정확도가 올라간다. 육면체구는 정육면체에 바람을 불어넣어 구 형태로 부풀린 도형이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