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웨스턴"(으)로 총 17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꿈의 신소재’로 손상 없이 머리 염색?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색감은 물론, 머리카락이 일종의 전자기기 역할도 할 수 있다. 황 자싱 미국 노스웨스턴대 재료과학과 교수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무독성이며 모발 손상이 없고 색이 오래 유지되는 새로운 염색약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켐(Chem)’ 3월 15일자에 발표했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벌집 모양으로 ...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연결이 아닌 고리와 축이 연결된 분자기계도 개발됐습니다. 프레이저 스토더트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1991년 얇고 긴 분자에 고리가 꿰어있는 형태의 ‘로탁세인(Rotaxane)’을 개발해 ‘미국화학회지(JACS)’에 발표했습니다. 스토더트 교수팀은 긴 축 모양의 분자와 반원 모양 분자의 정전기적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자동으로 기사를 쓰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한다. 첫 로봇 기자는 2009년 4월 미국 노스웨스턴대가 개발한 ‘스태츠 몽키(Stats Monkey)’다. 2013년 미국LA 타임스는 로봇 기자가 작성한 지진 속보를 온라인에 게재하기 시작했다. 로봇 기자는 한 달에 1만5000건의 기사를 작성하고, 한 건의 기사를 작성하는 ...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것이다. 논문의 교신 저자는 노벨상 수상자 중 한 명인 프레이저 스토더트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의 제자인 최장욱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였다. 합금반응 선택했더니 에너지밀도 50% up⇧최 교수는 박사과정에서부터 꾸준히 배터리를 연구해왔다. 그의 관심은 여느 배터리 연구자들처럼 ... ...
- Part 3. 소행성의 흔적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충돌했을 당시 소행성이 지하로 25km나 파고 들어갔다고 추정돼요. 지난 2014년, 캐나다 웨스턴온타리오대학교 데스몬드 무저 교수팀은 브레드포트 돔에서 20억 년 된 지르콘 결정을 찾았다고 밝혔어요. 1997년에 처음으로 브레드포트 돔 탐사를 시작한 이후 무려 20년 만의 성과였지요. 지르콘은 ... ...
- [과학뉴스] 종이접기로 만든 로봇 팔 트위스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방식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로봇 팔이 개발됐다. 이기주 미국 케이스 웨스턴리저브대 기계항공공학과 교수팀이 만든 ‘트위스터’다. 트위스터는 일본의 종이접기 작가 타치바나 미호코가 고안한 꼬여진 탑에서 영감을 받았다. 꼬여진 탑은 종이접기로 다각형 구조물을 만들고, 이 구조물을 ... ...
- Intro. 가볍게, 튼튼하게, 유연하게 기하학으로 만드는 로봇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는 사람이 올라타 조종하는 대로 움직이는 거대한 로봇을 두 눈으로 보게 될 날이 올까요? 상상 속의 이야기만은 아니에요. 실제로 거대로봇이 하나둘 등장하고 있지요. 이뿐만이 아니에요.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신개념 로봇이 많이 생기고 있어요. 중요한건 이 ...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구부러지고, 수축하고, 비틀어지는 ‘트위스터’라는 로봇이에요. 이기주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학교 기계항공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해 9월 27일 ‘IEEE/RSJ 지능형 로봇과 시스템 국제회의’에서 발표했지요. 유연하게 다양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 로봇팔의 핵심 원리는 일본의 종이 작가 ... ...
- Part 3. 넘어지면 단단해지는 기하학 구조수학동아 l2017년 11호
- 65쪽 그림에서 사람이 입은 내복 같은 옷은 사실 로봇이에요.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이라고 하지요. 딱딱하고 차가워 보이는 강철로 돼 있어야만 로봇 같지만, 앞으로는 부드럽고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진 로봇도 많이 등장할 거예요. 스마트 워치나 스마트 안경처럼 사람이 착용할 수 있도록 만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clock )’을 처음으로 발견한, 필자의 박사후연구원 지도교수였던 라비 알라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로스배시 교수에 대해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때로 엉뚱하고 말도 안 되는 모델을 세우고, 많은 경우, 어쩌면 대부분의 경우 틀리지만, 끊임없이 생각하고 질문한다”고. 바로 이런 점이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