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편
우송
d라이브러리
"
우편물
"(으)로 총 50건 검색되었습니다.
1. 나의 인생과 직업을 바꾼 인터넷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다음날 혼자 바닷가에 나와서 일출의 장관을 보고 있을 때의 벅찬 환희 속에서 전자
우편물
(e-mail)을 체크해야 한다는, 인터넷에 접속해 사람들과 대화를 해야 한다는, 인터넷만이 최고라는 생각은 사라지고 현실생활의 아름다움과 중요성을 깨닫게 됐다.그 뒤로 지금까지는 ‘적절한 휴식’ 과 ... ...
인터넷 정보에도 세금 붙인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이용해 서류나 문서를 붙일 때
우편물
의 무게에 따라 세금이 붙는다. 그러나 똑같은
우편물
을 전자우편으로 상대방에게 전달하게 되면 세금을 내지 않는 상태.네덜란드 림버그대학에서 경제학을 강의하는 소에테 교수는 "미래의 생산과 경제 활동의 많은 부분을 정보산업이 차지할것"이라고 ... ...
4. 남극연구원의 하루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바라기 때문에 어느 나라 기지에서나 의사는 심심한 것이 현실이었다. 그래서 기지마다
우편물
수발 도서관리 페인트칠 컴퓨터작업 통역 등 쉽게 할 수 있는 일들을 의료담당 앞으로 분류해 놓았다. 의사는 매력없는 일에 묶이기 싫겠지만 어쩔 수 없는 게 남극생활이다.연구원들은 기상관측 ... ...
3 서울-부산서 얼굴보며 회의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전국 도처에 깔린 백화점 및 음식연쇄점, 항공선 예약시스템, 은행지점간 서비스, 속달
우편물
서비스, 기상정보 시스템 등이다. 패킷 형태의 통신을 이용해 저속의 반송파에 설정된 시분할슬롯에 임의로 억세스하여 수백개의 소형지구국이 자신의 중심지구국과 통신할 수 있는 것은 물론, ... ...
우리별 2호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신청을 할 수 있다.이와 같은 절차에 의해 전세계에 있는 모든 위성 아마추어 햄들과의
우편물
교환이 가능하다. 현재 우리별 1호에도 이 기능이 있어 사용되고 있으며 약 1백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2호에서는 국산부품을 사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위성의 특성상 발사 후 위성의 ... ...
무인 자동차의「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하면서 길가에 우체통이 나타나면 정지한다. 그러면 사람들이 잠시 내려 우체통에서
우편물
을 수거해간다.독일의 경우 독일 국방대학에서 개발해낸 무인자동차가 있다. 이 차량은 시속 1백㎞에 상당하는 고속으로 주행할 수 있고 앞에 나타난 장애물을 감지하며 도로변의 신호등도 식별해낸다 ... ...
최면·침술 등이 금연에 큰효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0%다. 자신의 의지도 금연에 그리 큰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수준이다(6%).
우편물
이나 책을 통한 금연계몽법도 성공률이 9%에 불과하고 금연껌(니코틴껌)의 공헌도는 10% 정도다. 하지만 최근 미국에서 개발된 피부에 붙이는 금연약이 어떤 효능을 보일지는 아직 미지수."의사의 충고가 흡연자의 ... ...
(1) 「3년만에 20만」 통신인구 폭발적 증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와 모뎀만 있다면 자신에게 온 편지를 볼 수 있다는 점과 기존
우편물
과 같이 우표붙이는 번거로움이 없어진 점,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에게 편지를 보낼 수 있는 기능 정도가 기존 우편과의 차이점이다. 따라서 컴퓨터에 조금만 익숙해지면 기존 문화를 매우 편리하게 향유할 수 ... ...
바늘구멍 하나가 세계를 바꾼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오려내고 그 부분에 투명 셀로판을 붙인 것이 전부. 그러나 세계 각국의 요즘 상업용
우편물
이나 우체국의 전보 등을 보면 모두 이 봉투를 사용해 타이핑 인력을 반으로 절감하고 있다.바늘구멍 하나로 20만 달러의 상금을 받은 사람도 있었다.'바늘구멍 뚫은 각설탕 포장'의 발명가인 미국의 청년 ... ...
3 날틀에서 점보기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열렸다. 전쟁이 끝난지 3개월이 안되서 유럽에서는 정기항공편이 개설될 정도. 한편
우편물
을 실어나르던 무명의 린드버그란 미국 사람이 1927년 뉴욕과 파리간(5천8백9km)을 33시간30분만에 중간에 한번도 쉬지않고 횡단하는데 성공해 세상사람을 깜짝 놀라게 했다. 1930년대는 바다에서 뜨고 내릴 수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