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외교"(으)로 총 2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백두산에 가려면 북한이나 중국을 거쳐야 한다. 백두산이 국경 지역에 있는 데다가 정치외교적인 상황이 겹쳐 지금은 어느 쪽으로도 허가가 나지 않고 있다. 백두산 남북공동연구는 2007년과 2011년, 2015년 총 세 차례에 걸쳐 협의가 있었지만, 안타깝게도 모두 무산됐다. 현재 남한 연구팀은 북한과 ... ...
- 기후변화 해법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환경계획학과 교수),최용식(환경부 기후전략과 사무관)참고자료 기후변화홍보포털, 외교부 관련 홈페이지, 환경부 ‘파리협정 길라잡이’, 한국에너지공단 블로그, 로만 올손 외 ‘A novel method to test non-exclusive hypotheses applied to Arctic ice projections from dependent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개발에 얽힌 이야기를 과학동아에 연재한다. 1998년 9월 1일 평소 알고 지내던 청와대 외교안보 관계자로부터 전화 한 통을 받았다. 화급하게 몇 가지 숫자를 불러주면서 계산을 해보라는 것이었다. 내용을 살펴보니 로켓의 비행궤적이었다. 전문 연구원들이 계산을 하는 사이 또 다른 ... ...
- [SW 진로 체험] AI가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수학, 과학을 좋아해 과학고에 입학했어요. 문득 ‘*게임이론’에 관심이 생겨 정치외교학을 전공하면서 수학을 복수 전공했죠. 수학자가 될 생각으로 대학원에서는 확률론을 공부했어요. 그때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고등학교 선배가 종종 인공지능 논문에 적힌 수식에 관해 물었는데, 답변을 하다 ... ...
- Part 1.새로운 실크로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변천사 서쪽 길을 개척한 ‘장건’ | 기원전 139년, 지금의 중국에 자리 잡은 한나라 외교관 장건이 100여 명의 수행원과 함께 서쪽으로 떠났다. 하지만 흉노에게 붙잡힌 장건은 13년 동안 흉노와 함께 지내면서 서방 지역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이후 한나라로 돌아온 장건은 다른 나라의 문물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그래서인지 플림톤 322의 가치는 크게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1922년 당시 미국 외교관이자 골동품 수집가인 에드가 제임스 뱅크스가 플림톤 322를 갖고 있었는데, 미국의 출판사업가인 조지 아서 플림톤이 단돈 10달러에 사들였거든요. 이후에 플림톤이 다른 유물과 함께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 이 ... ...
- Part 3. ‘대한민국 우주군’ 창설되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필요한 우주 정보를 우리가 직접 생성해 활용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정치외교적인 관점을 제쳐 두고 과학적인 관점에서만 보면 우주군이 탄생하기 위해 먼저 다른 우주 강국들과 어깨를 견줄 수 있을 만큼 우주기술 수준을 높여야 한다. 가령 미국뿐 아니라 러시아와 중국이 항법위성 ... ...
- [Future] 중국이 짓겠다는 135km 해저터널, 양대 기술 쟁점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사업 추진이 대만과 중국의 긴장감을 고조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과학동아는 정치외교적인 문제는 배제하고 135km 길이의 해저터널을 완공하기 위한 기술적인 조건을 분석했다. 유로터널보다 3배이상길어중국이 대만과 연결되는 해저터널을 처음 구상한 건 1996년이었다. ‘하나의 ... ...
- [에디터 노트] ‘서밋’으로의 초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대북 정책은 완전히 바뀌었다. ‘불량국가’였던 북한이 미국과 한 테이블에 앉아 외교 상대로서의 대우를 받는 ‘정상국가’가 됐다. 보이지 않던 길들도 새로 나타났다.무엇보다 한반도가 분단된 이래 두 적성 국가 정상의 만남 자체가 상징성을 가진다. 정상(summit)에 있는 사람들이 만나면 새로운 ...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가장 오래된 응용 분야를 꼽으라면 그 중 하나는 암호일 것이다. 고대부터 주로 군사 및 외교적 안보를 목적으로 사용된 암호는 오늘날 전자상거래를 비롯한 디지털 정보 보안 기술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컴퓨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의 암호체계를 위협하는 기술이 등장하고,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