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어로졸"(으)로 총 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위, 아래로 발사하고 대기 중 입자에 의해 산란돼 들어오는 빛을 분석해 오존과 에어로졸 등 입자들의 수직 분포를 기록하는 장비”라며 “다른 장비들이 비행기의 고도에서 대기 성분을 관측할 때 그 위와 아래에는 어떤 입자가 분포돼 있는지 알아내고, 만약 미세먼지 덩어리가 발견되면 이를 알려 ... ...
- [Tech & Fun]추운겨울, 물 없이 씻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감아 살짝 기름기가 맴도는 머리에 드라이샴푸를 뿌렸습니다. ‘쉭’하는 소리와 함께 에어로졸 형태의 하얀 가루들이 머리 위로 뿜어져 나왔습니다. 시간이 조금 지나자 신기하게도 두피와 머리카락의 기름기는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습니다. 문제는 머리카락에 남은 하얀 가루였지요.이 하얀 ... ...
- 킁킁~, 비 냄새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실험 결과, 비가 갓 내리기 시작하는 정도의 작은 물방울이 마른 땅 위에 부딪혔을 때 에어로졸이 가장 많이 생겼어요. 정영수 박사는 “오랫동안 바싹 말라 있던 땅에 소나기가 내리는 순간 비 냄새가 가장 강하게 느껴지는 이유”라고 설명했어요. 지난 3월, 미국 하버드대학교와 샌디아 ...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넘어오는지 좀 더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중국대륙에서 편서풍을 타고 에어로졸이 한반도로 넘어오는 모습.여기에 초미세먼지를 만드는 오염물질도 상당량 포함돼 있다. ◀ 연세대 옥상에 있는 에어로넷(➊)과 판도라(➋). 에어로넷도 초미세먼지의 높이별 농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물로 가득 차 있는 반면 홍콩은 텅 비어있다. 우리나라에서 같은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에어로졸이 이동할 공간은 없다. 천 교수는 “아직 메르스에 대한 정보가 많이 없어 확답은 할 수 없지만, 우리나라에서 아모이가든처럼 메르스가 전파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에서 ... ...
- [Knowledge] 뉴스룸-니버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지역은 또한 미세먼지 주발생지역이기도 합니다. 오염물질과 연기, 미세먼지, 구름 등 에어로졸의 이동경로를 관측하고 있는 기자를 만나보겠습니다. 캐츠(CATS) 기자!CATS 기자 네, 지금 제가 서 있는 우주정거장에서 봐도 뿌연 미세먼지가 중국 상공을 덮고 있네요.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 ...
- 지구가 점점 더워진다! 2099년 온난화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매연으로 인해 예전보다 더 많이 생기고 있지요. 그래서 공장이 비교적 많은 북반구에서 에어로졸이 더 많고, 지구온난화도 더 빠르답니다.게다가 최근 오존층을 파괴하는 새로운 온실가스가 발견됐어요.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학교 요하네스 라우베 박사 연구팀은 그린랜드의 얼음층과 호주 ...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에어로졸이 줄어들면서 극지 온도는 지구 평균보다 6배 이상 증가했다. 국 박사는 “에어로졸 양이 급격히 변하면 예상치 못한 기후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면서 “지금처럼 중국, 인도 등의 산업화로 미세먼지가 급격히 늘어나는 상황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 ...
- 누가 더 친환경적일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것이라면 이번에는 더 많은 변수를 고려했다. 연구팀은 교통수단이 배출하는 온실가스와 에어로졸에 초점을 맞췄다. 이는 실제 유럽의 자동차, 버스, 기차의 배출 데이터를 토대로 만들었다. 그리고 타고 있는 승객의 수와 효율성 같은 요소도 계산에 넣었다.그 결과 비행기가 가장 큰 차이로 거리당 ... ...
-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최소한 인도양 전체와 태평양 일부 상공을 뒤덮었다. 이 화산재는 유황성분이 함유된 에어로졸 형태로 햇빛을 차단해 수개월에서 수년간 ‘화산 겨울’을 불러왔다. 화산 겨울을 과거 토바 분출 당시의 규모(이산화황 1.7Gt 분출)로 시뮬레이션 해보자. 겨울에는 성층권 기류 변화로 화산재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