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카트를 타고 이동할 때는 꼭 월면차를 타는 것 같았다”는 감상을 남겼다. 지하 1000m 아래에 도착 후 카트를 타고 이동한 곳엔 ‘저배경 감마선 측정 실험실’이 있었다. 암흑물질을 관측하려면 매우 낮은 배경방사능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예미랩은 매우 낮은 배경방사능 환경을 만들기 위해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게임을 해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맵’을 검색한 뒤 접속해 주세요. 편안한 점프 맵은 블록이 있 는 곳으로 잘 점프해 블록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끝까지 완주하면 성공하는 게임입니다. 간단한 게임이기 때문에 로블록스를 이제 막 시작하는 사람들이 도전하기 좋죠. 이동하는 길마다 게임 기록이 저장되는 체크포인트가 있기 ... ...
- 전술의 신 5. 승리 비결은 선수들의 노력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이런 경향을 분석해 선수들이 경기장에서 보여주는 노력의 총합과 경기력의 관계를 아래의 세 가지 그래프로 나타내 에 소개했다. 선수들의 움직임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본 로바놉스키 감독은 경기력이 달라지는 이유를 ‘선수들 간의 신뢰’라고 분석했다. 다른 선수를 믿지 ... ...
- 브롤스타즈 반사의 법칙 따라 총 쏘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큰 비율로 줄여 화면에 표시하기 때문이다. 아래로 조준하면 종종 궤적이 잘리므로(원) 아래에서 위로 움직이며 공격해야 유리하다. 사격을 잘하는 것이 게임에서 이기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 브롤스타즈에는 브롤러가 20명이 넘게 있고 맵마다 벽의 모양, 숨을 수 있는 풀숲과 장애물의 위치 ... ...
- [신의 책] 세상을 해석하는 수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태어난 토끼는 모두 몇 쌍일까? 이때 토끼는 죽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답을 찾았나요? 아래 표를 보면 앞의 두 수의 합이 바로 뒤의 수가 되는 규칙이 눈에 보일 거예요. 이 규칙에 따르면 1년(12달) 후 토끼 쌍의 수를 쉽게 구할 수 있어요. 233쌍이에요. 당시에 이 수열은 피보나치 수열로 ... ...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슬롯머신 뿐 아니라 소셜미디어에 중독되는 데에도 한 몫 했다. 엄지를 위 또는 아래로 쓸어 올리는 동작을 관성적으로 반복하는 행위는 소셜 미디어 사용자를 무아지경의 상태로 이끌어 현실을 잊게 만드는 효과도 있다. 과학동아 독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하면서 현실을 망각했던 경험이 있다면 ... ...
- 넓디넓은 바다 속 보물, 어떻게 찾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쏜 후, 각 음파가 해저면으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의 차이를 통해 해저면 아래의 모습과 물체가 묻혀 있는지를 확인하죠. 물체가 감지되면, 수중 발굴 조사단은 잠수복을 입고 입수합니다. 물속에선 흡입 기계로 유물을 덮고 있던 진흙을 걷어내요. 이땐 유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섬세하게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행주를 집어든다. 다른 손으로는 와인잔을 든다. 그리고 행주로 와인을 닦는데, 와인잔 아래까지 놓치지 않고 닦는 모습이 웬만한 사람만큼 야무지다. 하이파이브의 경우, 다양한 장소, 다양한 옷, 다양한 키를 가진 사람들의 조건에 맞춰 하이파이브를 한다. 하이파이브란 동작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AI) 그림도 예술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열 마리가 도넛을 먹으며 미러볼 아래에서 춤을 추는 그림을 그려달라고 입력했더니 아래와 같은 귀여운 그림이 나왔어요. 이렇게 생성형 AI를 이용하면 그림을 잘 그릴 줄 몰라도 누구나 재미있는 아이디어로 그림을 그릴 수 있답니다. 예술가 AI, 문제는 없을까? 예술하는 AI의 등장은 한편으로 ... ...
- 거대 소수 왜 찾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설치할 때는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대용량의 계산을 시킨다. 원주율을 소수점 아래 수십만 자리까지 계산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다국적 컴퓨터 기업 인텔에서는 GIMPS 프로젝트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펜티엄 II, 펜티엄 프로 칩을 출시하기 전에 테스트한 바 있다. 찾아야 하는 메르센 소수의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