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지"(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과학에서 머리카락이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존재다. 과학에서는 머리카락의 존재감이 높아지고 있는데, 정치에서는 ‘신체발부수지부모(身體髮膚受之父母)’와 같은 낡은 사상만 강조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 ... ...
- 흔하지만 소중한 땅속의 보물 반도체의 아이콘, 규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대학 등 화학 연구실에서 자주 쓰이는 실리콘 오일은 규소와 산소가 교대로 연결된 규소 수지여서 ‘silicone oil’이라고 표기해야 한다.가장 간단한 규소 화합물 중 하나인 이산화규소(SiO₂)는 석영 또는 수정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 과거 부싯돌을 사용해 불을 붙이던 시대에는 주로 석영을 ... ...
- [과학뉴스] 빛 쪼이면 2분 안에 뚝딱, 회전하는 3D 프린터 나왔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바라본 물체의 2D 이미지 값을 산출하게 했다. 그리고 2D 이미지를 영사기를 이용해 합성수지인 아크릴레이트 액체가 든 실린더에 비췄다.실린더가 회전하는 동안 빛에 노출된 아크릴레이트는 광자를 흡수하며 딱딱하게 굳었다. 이 과정에서 아크릴레이트 액체 속에 3D 물체가 통째로 만들어졌다. 수cm ... ...
- [QUIZ KING & KAIST] 새해 일출 원정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2019년을 코앞에 둔 수지는 고민에 빠졌다. ‘어떻게 하면 2018년을 잘 마무리하고 2019년 수학문제연구회(수문연)가 힘찬 새출발을 할 수 있을까.’ 생각에 잠겨있던 수지는 무릎을 ‘탁’ 치며 일어나 “그래, 역시 새해에는 그거다!”라고 외치며 후배들을 모았다. ...
- [팩트체크 4] DMZ, 멸종위기종의 천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DMZ가 우리나라 면적의 1.6%에 불과한 좁은 지역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나게 많은 수지요. 이에 우리나라 통일부는 5월 2일, DMZ 지역을 세계생태평화공원으로 만들 준비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통일을 준비한다! 반달가슴곰의 팩트체크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해당하는 태양 복사에너지와 지출에 해당하는 지구 복사에너지의 차이를 ‘지구의 열수지’라고 하며, 식으로는 아래와 같이 나타낸다. 위도에 따라 태양 복사의 입사각이 달라지기 때문에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갈수록 태양에너지의 흡수량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위도에 따른 에너지 불균형이 ... ...
- [오일러 프로젝트] 1만 개의 숫자에서 ‘우애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22×p×q와 22×r로 구해진다. 우애수 17296과 18416도 n=4일 때다. 반면 6232와 6368은 우애수지만 이 관계식을 만족하지 않는다. 쿠라가 만든 식은 우애수를 구하는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은 아니라는 뜻이다. 오일러는 쿠라의 정리를 일반화시켜서 새로운 정리를 증명했다. 1≤m≤n-1을 만족하는 정수 m,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2] 자원과 지속가능한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2호
- 1979년 두 차례 원유 생산량을 감축해 석유 가격을 인상했다. 그 결과 OPEC 회원국은 무역 수지 흑자액이 크게 증가해 경제적 이익을 봤지만, 세계 각국은 석유 파동의 영향으로 경제 성장에 큰 타격을 받았다. 특히 석유 수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의 피해가 심각했는데, 국제 석유 가격이 상승하면서 ...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충치가 생기면 손상된 치아 사이를 메우는 ‘레진’이 대표적인 광경화수지다. 광경화수지에 고에너지 레이저를 쪼이면 2개의 광자가 흡수되며 물질이 딱딱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이 현상은 나노미터 크기의 ‘복셀(voxel.부피(volume)와 픽셀(pixel)의 합성어로 3D 공간에서 격자 단위 값을 나타낸다)’ ... ...
- [Career] 2018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미래 노벨상 인재들의 축제과학동아 l2018년 10호
- mycorrhizal fungi)을 이식해 영양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인공 뿌리’를 제작했다. 수지상균근균은 ‘글로말린(glomalin)’이라는 당단백질을 생산해 토양을 다지고 토양 속 미생물 회복을 돕는다. 울랄라 팀의 이다인 양(충북과학고 3학년)은 “예선에서는 한천을 캡슐처럼 만들어 그 안에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