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셸"(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 2. 4대 제품성능 철저비료과학동아 l1995년 05호
- 도입해 만든, 이른바 '객체 지향성'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환경은 워크플레이스 셸(WPS, Work Place Shell)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다루어지는 대상을 객체로 관리하기 때문에 마우스를 통해서 많은 작업을 해낼 수 있다. 한 예로 끌어넣기(Drag & Drop) 기능을 들 수 있는데, 출력을 원하는 파일을 마우스 ...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위치를 측정해 우리 은하가 어떤 구조를 이루고 있는지를 그림으로 그렸다(그림1). 허셸의 시도 이후 우리 은하의 구조가 볼록렌즈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으며(그림2, 표1) 태양은 은하 중심에서 3.2만 광년(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진행한 거리, 약10조㎞) 떨어진 곳에 위치한 평범한 별의 ... ...
- 제10행성설, 카이파벨트의 실체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카이파벨트 후보인 1993FW가 하와이대학의 망원경에서 발견됐다. 이밖에도 영국의 허셸망원경(지름 2.5m)등에서 1993RO, 1993RP, 1993SB, 1993SC 등이 관측됐다. 이들의 등장으로 태양계는 제2의 르네상스 시기를 맞고 있는 듯하다. 이러한 소천체들이 발견될 때마다 매스컴에서는 '10행성 발견 임박'이라는 ...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과학동아 l1993년 11호
- 새로운 성운목록을 작성하면서 본격적인 목록표가 등장하게 되었고, 바로 뒤이어 W.허셸이 대형 망원경으로 성운과 성단을 밀집도와 모양에 따라 8단계로 나누어 산개성단과 구상성단의 과학적인 분류가 이루어졌다.성운과 성단의 이름에 흔히 쓰이고 있는 것은 M과 NGC라는 기호이다. 우선 M이라는 ... ...
- 사용하긴 쉬워도 이해하긴 어려운 멀티태스킹과학동아 l1993년 11호
- XT수준에 메모리 사용을 묶어두는 리얼모드(Real Mode)에 머무르고 마는 것이다.따라서 도스셸이나 노턴 커맨더 혹은 피시툴의 태스크 스위칭 기능의 활용도는 메모리 사용의 제한 때문에 출발부터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는 셈이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사용을 640kB 이상으로 늘려야 ... ...
- 세갈래로 갈라진 보름달만한 삼렬성운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우리은하 중심 궁수자리에는 삼렬성운 오메가성운 등과 같은 밝고 아름다운 성운들로 가득차 있다. 쌍안경이나 저배율의 광시야 망원경으로 이 지역을 훑어보자.기승을 부리 ... λ Sgr의 북서쪽 1도에서 손쉽게 찾을 수 있다. 이것이 성단으로 인식된 것은 허셸의 관측 이후다(1만5천광년) ... ...
- 프로그램 관리자와 파일관리자과학동아 l1993년 08호
- 처음으로 등장하는 것이 바로 이 프로그램 관리자다. 프로그램 관리자를 윈도우의 셸(shell)이라 하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프로그램 관리자가 도스의 command.com과 비슷한 일을 하기 때문이다. 프로그램 관리자는 윈도우의 핵심으로서 윈도우를 사용하는 동안 계속 메모리에 상주하면서 여러가지 ... ...
- 도스를 대신하는 유틸리티 피시셸(PC SHELL)과학동아 l1993년 04호
- 물론 모든 유틸리티를 내부에 통합할 수 있는 포용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피시셸의 기능을 잘 알아두는 것은 컴퓨터를 쉽고 편하게 쓸 수 있는 지름길을 예비하는 것이다 ...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과학동아 l1993년 03호
- 위치를 표시할 때 실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래서 지금 이 성단은 1785년에 월리암 허셸의 발견으로 인해 얻은 2422라는 숫자와 1771년에 메시아의 발견으로 얻은 2478이라는 숫자를 모두 갖게 되었다.메시아의 기록에서는 "M46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이 성단이 M46보다 좀 더 크지만 ... ...
- 6개의 별이 묶여 있는 카스토르과학동아 l1993년 02호
- 2백38˚(도)다. 1768년 카시니에 의해 처음 두개의 별로 분해됐다.1803년에 월리엄 허셸이 이 두별은 중력으로 묶여있고 우주공간에서 서로를 돌고 있는 계를 형성한다고 보고했다. 그러니까 카스토르는 물리적 이중성으로 인정된 첫번째 별이고, 우리 태양계 밖이 있는 천체들 가운데 중력 작용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