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분"(으)로 총 3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21세기 한국의 미래, 에너지자원공학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에너지자원은 물론 신재생에너지와 리튬 등 새로운 에너지자원도 다루고 있어 전공이 세분화돼 있다. [교수진] 슈퍼컴퓨터 사용량 가장 많은 최첨단 분야 에너지자원공학과에서 연구하는 분야는 크게 탐사, 개발공학, 석유가스공학, 자원재활용, 그리고 에너지자원경제 등 5개로 나눌 수 있다 ... ...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과학동아 l2018년 09호
- 1만~10만 배 이상 높은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 영역의 주파수를 이용해 1초를 세분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수백 THz(테라헤르츠·1 THz는 1012 Hz)에 이르는 원자나 이온의 복사선에 주파수 발생기의 주파수를 일치시켜 불확도가 10-18 수준인 ‘광시계’를 개발 중이다. 초의 정확도가 100배 이상 높아질 ... ...
- Part 1.문제 해결의 비법, 컴퓨팅 사고력!수학동아 l2018년 09호
- 내부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기능이 필요하겠죠? 이렇게 문제를 단계별로 세분화하는 게 문제분해예요. 2. 추상화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로 바꾸기 위해 불필요한 상황은 제거하고 핵심적인 문제만 남겨 단순하게 표현하는 거예요. 밥을 줄 시간과 양을 정하는 기능을 만들 때 제한을 두지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설명했다. 연구진은 현재까지 남한 지역의 대략적인 동위원소 지도를 구축했고, 이를 세분화하는 작업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 류책임연구원은 “지역별로 미용실에 방문해 머리카락을 얻고, 지하수 샘플을 모으는 등 분석에 활용할 샘플 확보에도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속초 ... ...
- [DJ CHO의 롤링수톤] 마이클 잭슨의 ‘배드’ 눈으로 보는 음악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했으니까요. 잭슨의 또 다른 노력도 있었습니다. 잭슨이 활동하던 당시는 팝의 장르가 세분화돼 세대별로, 인종별로 즐기는 음악이 달랐습니다. 백인은 헤비메탈을 듣고, 흑인은 주로 랩과 펑크★를 들었습니다. 흑인 음악을 기반으로 곡을 만들던 잭슨은 백인도 팬으로 포섭할 방법을 찾습니다. ... ...
- [Issue] 요즘 ‘핫’한 롱패딩, 한국 겨울엔 필요 없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면적 비율이 더 높습니다. 열을 잃기가 더 쉽다는 뜻이죠. 따라서 옷차림을 기온에 따라 세분화해야 합니다. 가령 11월이나 12월 초, 2월이나 3월 초 영상의 기온에는 옷을 가볍게 입혀 아이가 추위에 적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고, 날씨가 영하로 떨어지는 12월 중순부터 1월까지는 손과 발의 보온에 ...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평가받고 있다. 넷플릭스는 영화를 지역이나 장르, 제작자, 배경, 줄거리 등 8만 여개로 세분화했다. 사용자의 개별 취향과 매우 유사하게 추천해줄 수 있다. 넷플릭스 전체 사용자의 70% 이상이 추천받은 작품을 본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국내에서도 협업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추천 서비스가 ... ...
-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있다. 장인 정신에 필요했던 수학음악의 질이 좋다는 건 게임이 지원하는 악기 소리가 세분화돼 있다는 뜻이다. 실제 악기에서 ‘도’를 칠 때 음정은 하나지만 음색은 여러 방법으로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아노 건반을 세게 누를 때와 약하게 누를 때, 페달을 밟을 때와 밟지 않을 때 음색이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세분화된 평가 기준연구소 규모가 방대한 만큼 연구자의 형태에 따라 평가기준도 세분화돼 있다. 이화학연구소의 연구 조직은 크게 연구실(lab)과 센터로 나뉜다. 연구 성격으로 구분하자면 연구실은 기초연구에, 센터는 기초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킨 응용연구에 치중하는 편이다. 규모에서도 ... ...
- 수학공감➌ 통계, 생활이 되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아닌 한쪽으로 치우친 결과가 나왔다. 자료의 수가 충분하지 못했고, 계급의 크기가 세분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통계 조사의 표본을 잘못 선정하면 결과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교과서에 적혀있는 수학 개념을 넘어 더 깊이 있게 내용을 이해하게 된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