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자
학장
스콜라
장학생
인자
뱃삯
d라이브러리
"
선비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돈 잘 버는 사람이 최고 공학자 박희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나온 대답이다. 그는 “많은 대학 교수들이 돈 버는 것은 잘못된 일이고 대학 교수는
선비
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공학은 근본적으로 개념이 다르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논란이 된 KAIST 러플린 총장의 ‘사립대 구상’도 대학졸업생이 시장의 요구에 맞춰야 한다는 점에서 찬성한다고 ... ...
과학책에 인생을 걸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전업 과학저술가로는 유일하게 참가해 주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자신을
선비
에 비유한 그는 “원칙을 지키며 살다 보니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동기들은 이제 은퇴할 때지만 자신은 아직도 할 일이 많고 새로운 사람과 과학지식을 접하는 것이 즐겁다고 한다.과학에 대한 그의 ... ...
과학계 초대 얼짱은 초상화 덕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늘 따스한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고 가르쳐왔습니다. 윤두서의 자화상은 바로
선비
의 이미지 그 자체라고 할 수 있겠지요.받는 사람 따라 그림 수준 달리해 이처럼 초상화에는 사진으로는 느끼기 힘든 인물의 내면이 담겨져 있다고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실제 모습과 다른 새로운 이미지를 ... ...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정확히 묘사하기도 했다.2백년 전을 살다 간 정약전은 그 시대의 과학자였으며‘진정한’
선비
였다. 앞으로 정약전에 대한 연구가 좀 더 깊이 있게 진행돼 그의 참모습이 제대로 드러나길 기대한다.| 현산어보 |현산어보는 국사시간에‘자산어보’(慈山魚譜)라는 이름으로 배운 그 책이다. 하지만 ... ...
1. 최근 학력 파괴 경향의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것이 아닌가 싶다. 실험은 손과 옷에 기름을 묻히는 작업이다. 이런 실험의 이미지가
선비
의 이미지와 연결되기는 어렵다.과학이 독창적인 사변을 요구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도구를 만드는 일 역시 다른 의미에서 독창적인 작업을 요구한다. 그런데 독창적인 실험 도구를 개발하는데 반드시 ... ...
초상화 관상법으로 선조 질환 밝힌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이교수는 이 초상화를 세계백반증학회에 소개해 학회에서 발행하는 교과서 첫 장에 조선
선비
의 얼굴을 올려놓기도 했다.처음 이 초상화를 발견한 곳은 국립중앙미술관이었다. 이마 중앙 부위와 왼쪽 뺨 부위가 하얗게 그려진 점을 보고 첫눈에 백반증을 의심했다고 한다. 하지만 미술관 전문가는 ... ...
버팀목 줄기 감아 고사시키기도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등나무 덩굴과 같아서 반드시 다른 물건에 의지해야만 일어설 수 있다’고 해 그 당시
선비
들이 가장 멸시하던 소인배를 등나무에 비유했다. 그러나 갈등을 빚는 나무이든, 소인배의 나무이든 이 모든 것은 관념적 비유일 뿐이고 등나무만큼 쓰임새가 많은 나무도 드물다. 알맞게 자란 등나무 줄기는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위해 운반되던 중 배가 침몰해 바다에 가라앉았던 것이다. 문화재는 돈이 아니라
선비
들의 정신이번에 인양된 청자 2천3백여점은 바다에서 확인된 고려청자로는 완도 앞바다에서 발견된 3만여점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양이다. 그러나 이번 청자는 전체 고려청자 속에서 보면 그 예술적·학술적 ... ...
왜 허준의 행적을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정렴이란 분은 단전호흡법을 많은 사람이 알기 쉽게 풀이했다. 이밖에도 조선의
선비
는 건강관리술로 방중술에 관심이 높았는데, 쾌락보다는 엄격한 절제를 강조했다.질병과 치병 문화는 의학사 연구의 핵심 주제다. 조상이 어떤 병을 가장 많이 앓고, 어떤 병으로 가장 많이 죽었는지, 병에 대해 ... ...
천년왕국 신라는 숯으로 망했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않은 물건이며 숯은 ‘숫’과 같으니 아들을 염원한 것이요, 숯이 먹과 색이 같으니
선비
가 되라는 주문도 포함돼 있다고 한다.더욱이 숯은 예로부터 약제로 활용됐다. 조선초기의 의서인 ‘향약집성방’에는 파상풍과 타박상을 비롯해 숯을 이용해 치료할 수 있는 여러가지 질병이 소개돼 있다. 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