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사
기울기
사면
경사로
언덕길
비탈길
비탈면
d라이브러리
"
비탈
"(으)로 총 9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더 높이 날아가는데, 높이 올라가기 위해 스스로 날갯짓을 하지 않는다. 바다 위나 산
비탈
에 생기는 따뜻한 상승 기류를 타고 적당한 높이에 올라간 뒤 서서히 하강 비행하고, 또 다시 상승 기류를 타고 위로 올라가는 식이다. 이와 달리 몸무게가 100원짜리 동전 1개 무게(6g)인 노랑눈썹솔새는 땅 위를 ... ...
수성 지름이 7km나 작아졌어요!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2900회 도는 대기록을 세운다. 연구진은 메신저가 촬영한 수성 표면 사진을 분석해 급격한
비탈
이나 주름진 능선 등 수성 표면이 수축하면서 남긴 흔적을 찾았다. 이들이 이렇게 찾아낸 지형은 모두 5934개.이 결과는 행성의 열역학 모델에서 후기운석대 충돌기인 약 38억 년 전 이후 수성이 5~1 ... ...
히말라야 流浪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손가락 8개를 잃어버린 사람이다. 세밀한 조종이 무척이나 힘들었으리라. 원정대는 산
비탈
을 따라 오르는 ‘사면상승풍’을 타고 공중에 솟은 뒤, 지면을 데우고 상승하는 열기류 기둥을 타고 다시 한 번 상승했다. 공기 중 산소가 희박하기 때문에 산소통은 필수품이었다. 히말라야 산맥 서쪽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내려가지 못하는 건 이미 더이상 증가할 수 없는 ‘최대의’ 운동에너지를 갖고 있어
비탈
을 내려가면서 운동에너지를 더 흡수할 수 없기 때문”이라 설명했다. 음의 온도 세계에만 있는 에너지의 상한선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다. ● 열효율 100%의 열기관과 암흑에너지오늘날 쓰는 자동차 엔진의 ... ...
[화보] 디자인, 기하학으로 진화하다!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코일이 작동돼 전기가 만들어진다. 빼기를 활용하라!맹거스펀지를 닮은 산장가파른 산
비탈
위에 위태롭게 서 있는 이 작은 산장은 전체적으로 평범한 육면체 형태지만, 작은 육면체 조각들을 몇 개 빼내 마치 맹거스펀지를 연상케 한다. 맹거스펀지란 정육면체에서 작은 정육면체를 제거하는 ... ...
과학으로 그린 비밀의 정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섬백리향이나 은쑥 같은 식물은 원래 살던 곳이 춥고 바람이 많이 부는 고산지대라 산
비탈
바위틈에 기르기 안성맞춤이거든요. 과학 정원 STEP ❹보존하기자연을 이해하고, 생물의 필요에 맞게 환경을 다듬은 뒤 가장 어울리는 곳으로 보내 주는 과정이 정말 한 편의 그림을 그리는 것 같아요~.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거의 보지 못하기 때문에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결국 죽게 된다. 하늘공원에서 남향
비탈
이 특히 가시박의 피해가 큰 이유다.“잘 모르는 분들은 여름에 푸른 융단처럼 숲을 뒤덮은 가시박 덩굴이 보기 좋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가시박 때문에 식물의 종 다양성이 급격히 무너지고 있어요.”특히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해서 비용이 많이 든다. 에스컬레이터를 놓자니 경사가 높아 굴러 떨어질염려가 있다. 산
비탈
을 따라 레일을 깔고 로프와 도르래를 연결해 엘리베이터로 만들면 경제적이면서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 서울 지하철 버티고개역과 이대역에도 바닥에서 30°만큼 기울어진 엘리베이터가 설치돼 있다 ... ...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부족의 침략을 피해 호수로 쫓겨나야 했던 우로 족의 가슴 아픈 역사에서 비롯됐다.][산
비탈
에 만든 모라이(잉카의 계단식 밭)의 모습. 열대지역 농작물을 선선한 기후에 적응시키기 위해 고안된 형태다.][해발 3812m의 고지대에 있는 티티카카 호수는 면적이 매우 커서 끝이 보이지 않는다.][페루에서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한국전 당시 유골이 거의 지면에 노출된 상태로 발견됐다. 성 상병을 따라 산
비탈
을 내려가니 긴 교통호 흔적 위로 희끗희끗 유골을 덮은 한지가 보인다. 처참했던 전투의 아픔을 고스란히 전해주고 있었다. 땅 위에 살짝 깔려있는 부엽토(나뭇잎이 썩어서 생긴 흙)를 조심스레 치웠더니 금세 유골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