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괴상
이상
파격
변칙
변태
별남
괴팍함
d라이브러리
"
비정상
"(으)로 총 567건 검색되었습니다.
[헬라세포] 그 불멸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9호
헬라세포는 왜 다른 세포와 달리 끝없이 분열하며 자랄 수 있었던 것일까요? 그것은 암세포에 숨겨진 비밀 덕분이에요. 생물학자들은 헬라세포 연구 ... 정상적인 인간의 염색체는 총 46개인데 헬라세포의 염색체는 76~80개나 되었어요. 이중
비정상
적인 염색체는 22~25개인 것으로 드러났죠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따뜻해지면 나무는 1년간 생장하기 위한 준비를 이전보다 빨리 시작한다. 그 결과
비정상
적으로 이른 시기에 생장을 시작한 나무가 뒤늦게 닥치는 추위로 피해를 입는 것이다. 한편 국립생태원에서는 2015년부터 구상나무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와 공동연구를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페어링에 금이 가 급히 다시 주문해야 할 정도였다. 하지만 1차 발사 때와 같은 페어링
비정상
분리 문제는 단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았다. 극한환경에서 동작하는 발사체를 개발하는 것이 그만큼 섬세하고 어려우며 경험이 필요한 일이라는 방증이었다.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 ...
[융복합 파트너 @ DGIST] 줄기세포로 만든 ‘미니 장기’로, 암 표적 치료법 찾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관여하는 ‘KEAP1’이나 ‘p53’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기도 기저 줄기세포가
비정상
적으로 늘어나는데, 이는 결국 암 발생으로 이어졌다. 또 KEAP1 유전자 변이가 생긴 폐암과 KEAP1 유전자 변이가 없는 폐암을 비교하자 유전자 변이가 있을 때 암 전이 속도가 더 빨랐고, 방사선 치료 시 암세포도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백혈병을 완화하는 첫 치료 방법이 개발된 악성 종양이다. 악성 종양은 세포가
비정상
적으로 증식해 그 수가 무수히 늘어나고 다른 장기로도 전파되는 조직이다. 흔히 암이라 부르며, 뇌에 생긴 악성 종양은 다른 신체 부위에 생긴 것과 특성이 달라 뇌종양이라고 부른다.두 악의 만남은 1960년대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내로 침투시켜 세포질을 해체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암세포) 같은
비정상
세포가 자살하도록 유도한다. 도움 T림프구는 각종 신호물질을 분비해 다른 식세포나 림프구가 활성화되도록 돕는다. 특히 항체를 만들 수 있도록 B림프구가 활성화되려면 도움 T림프구나 수지상세포가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 도 있다. 인간 유두종바이러스(HPV)는 특정 단백질을 합성해 숙주세포의 증식을
비정상
적으로 촉진한다. 이것이 자궁경부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영리한 바이러스는 자신이 탈출하는 과정에서 숙주세포가 죽는 것을 원치 않는다. 숙주세포가 죽으면 자신도 함께 사라질 수 있기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노출된 적이 없었다. 연구팀은 이 쥐의 비장에서 세포를 추출해 시험관에서 키운 쥐의
비정상
백혈구 세포와 섞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비장에 있는 일부 세포가 백혈구를 무차별적으로 공격하는 반응이 나타났다. 이상한 점은 T림프구와 B림프구 등이 공격 반응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스타부딘을 재합성해 HIV에 처리한 결과, HIV는 정상적으로 DNA를 합성하지 못하고
비정상
적인 짧은 DNA를 만들어내며 증식이 억제됐다. 스타부딘은 1994년 에이즈 치료제로 FDA의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당시 스타부딘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였다. 비싼 가격 때문이었다. 이에 프루소프는 2001년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분비돼 식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인 렙틴의 신호체계에 이상이 생길 경우
비정상
적인 허기를 일으켜 비만을 일으킨다.이번에는 살이 늘어나는 현상을 집중적으로 설명했지만 살이 극도로 줄어드는 현상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중요한 점은 살을 적절하게 유지해 생물학적 항상성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