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마추어
미숙자
평신도
문외한
비직업 선수
아마추어인
d라이브러리
"
비전문가
"(으)로 총 66건 검색되었습니다.
슈뢰딩거의 생명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모델, 생명체에서의 엔트로피, 물리학 법칙과 생명현상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이 책은
비전문가
인 물리학자가 감히 생명의 문제에 대해 주장을 펴게 된다는 점에 대한 양해와 사과로부터 시작된다. 전공을 뛰어넘는 타 분야에 대한 간섭으로 비쳐질지도 모른다는 점을 고려한 조심스러움의 표현일 ... ...
자크모노의 우연과 필연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콜레쥬 드 프랑스에서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열었던 강연의 중심 테마이기도 하다. 대개
비전문가
를 대상으로 하는 과학 강연이 대부분의 과학자 자신들에게 과학을 좀더 폭넓은 시각에서 다시 생각해볼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줬듯, 모노에게도 마찬가지였다.우연과 필연은 1970년 ... ...
즉석카메라 특허 침해로 8천억원 배상한 코닥사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허용한 셈이 됐기 때문이다. 독창적인 발명품을 개발하는 데에는 전문가들보다 오히려
비전문가
가 유리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예다.이 두사건으로 한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좋은 아이디어, 즉 좋은 기술을 발명한 사람은 특별한 경우가 아닌한 자신의 발명을 무작정 이용당하지는 ... ...
스노우의 두 문화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가?지금의 우리 사회 역시 과학적 배경과 경험이 거의 없는
비전문가
에 의해 과학기술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또 과학기술자들이 과학정책결정에 참여하더라도 역사적 안목과 사회적 의식이 결여돼 있어 여러 문제점들을 초래하고 있다. 더군다나 인문학을 배경으로 하는 ... ...
'아마추어' 정신의 승리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확립한 발성법으로 농아에게 발성을 가르치는 활동을 한다. 벨은 비록 전신·전기 분야의
비전문가
였지만 이런 관심을 지속시켜 음성을 전기적으로 전달하게 하는 전화를 여러 사람의 도움을 통해 개발하고, 특허까지 얻게 된다.그레이는 벨과는 독립적으로 같은 날 특허를 냈다. 물론 그레이도 ... ...
개그맨 전유성 여전히 초보인 인터넷 도사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모두 세권. 이쯤이면 누구라도 '도사'라 부를만 하다.하지만 그는 여전히 스스로를 '
비전문가
이며 초보자'라 부른다. 이는 그가 겸손해 하려는 말이 아니라 진실이다. 실제로 그는 어찌된 영문인지 책에서는 그 특유의 입담으로 설명해놓은 IP어드레스니, ftp니 하는 용어에 매우 낯설어 한다."그런 거 ... ...
1. 로스웰 UFO 추락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충격적인 대답을 들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어떤 제재를 받은 적은 없다고 한다.그러나
비전문가
인 기자의 눈에 석연치 않은 구석들이 있었다. 비디오에서 본 것 중 벌로 보이는 것을 그들은 UFO라고 우겼다. 또 UFO를 촬영한 장소도 문제였다. 우선 비디오를 설치해 놓은 곳에 나무가 있어 낙엽이 많이 ... ...
2. 우리가 만들어야 할 홈웨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최근에는 프로그래밍을 하지 않고 간단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도구들이 등장하고 있어서
비전문가
도 어린이를 위한 놀이학습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됐다.어린이를 위한 홈소프트웨어는 참신한 아이디어를 찾으면 얼마든지 새로운 종류를 만들 수 있는 분야다. 단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 ...
3 세계보건기구도 인정하는 침 치료, 사례 풍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추출해서 임상실험을 했다. 환자들은 두 집단으로 구분돼, 각각 침요법 전문가와
비전문가
에게 치료를 받았다. 치료효과를 비교한 결과 양 집단 모두 통증이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즉 침요법의 효과가 증명되지 않은 것이다.그러나 다른 실험도 있다. 침술을 전혀 ... ...
대형사고 대비, 선진국 이렇게 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피해나 위험을 최소화하는 과학적인 방재활동은 불가능할 것이다. 허술한 조직 아래서
비전문가
가 주먹구구식으로 조치를 취한다면 오히려 피해가 늘어날 수도 있으며 대원들이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커진다. 사고명령체제-사고 경험의 결정판미국 연방 소방국(Federal Fire Protection Agency)에서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