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톡톡히 수행했다. 한국에선 조선 건국 직후인 1395년, 석판에 천문지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새겼다. 중국 한나라 무제 때 관측한 천체의 위치에 기반해 하늘을 가로지르는 은하수와 해달별의 변화, 그리고 별자리를 상세히 나타냈다. 하늘에 대한 정보가 곧 권력이 된 건 비단 동아시아만의 ...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수학과 교수로 임용된 후, 2013년부터는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연구 분야는 조합론과 계산수학이며, 램지의 정리에서 R(3,t) 값의 크기 함수를 구해 1997년 풀커슨 상을 수상했다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과학에 쓰이는 돈 어떻게 가져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 대학에서 연구하는 데 쓰이는 돈은 어디서 나오냐는 기자의 질문에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6년차 연구자인 지인, 이 모연구원은 결국 ‘과제’라고 답했습니다. 여기서 과제란 정부 또는 기업에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연구 목표를 말합니다. 정부나 기업은 이 목표에 따라 연구를 수행할 ... ...
-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단정짓기는 쉽지 않다. 여기서 말하는 ‘연금술’은 18세기 이전까지 화학의 주요 연구분야였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연금술사들이 금을 만들려는 시도를 한 것은 사실이나, 이는 연금술에서 수행된 연구의 일부일 뿐이다. 연금술사들은 금을 만드는 것 외에도, 광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 ...
- 우주에서도 문제 없다! DNA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말이야. 그 이유를 알려줄게!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데이터를 보관하려면? 2018년 IT분야 분석 기관인 국제데이터코퍼레이션(IDC)은 인류가 만든 모든 정보의 용량이 2025년 기준 175ZB(제타바이트)●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어요. 정보가 늘어나는 속도도 점점 빨라질 것으로 내다봤죠. 최영재 교수는 ... ...
- 전술의 신 1. 그래프로 패스를 분석하라!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이론이란 수학에서 점과 이들을 연결하는 선들로 구성된 그래프의 성질을 연구하는 분야다. 2010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월드컵에서 스페인이 우승하자 데이터 과학자인 하비에르 로페즈 페냐는 스페인이 우승을 차지한 이유 중 하나를 패스에 따른 조직력이라고 보고, 이를 그래프 이론으로 ... ...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Design)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실리콘밸리에서 UX 디자인 리서처로 근무했다. 주 연구 분야는 UX, HCI, 행동 변화를 위한 디자인 등이며 현재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사용자를 유인하고 현혹하는 UX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디자인 트랩’이 있다. ryun@hongik.ac ... ...
- [가상인터뷰] 인간과 유전체 93% 일치 붉은털원숭이 복제 성공과학동아 l2024년 03호
- mulatta)는 유전체가 인간과 약 93% 일치해 인간의 감염과 면역 연구를 위한 의학 및 생리학 분야에서 실험동물로 자주 등장한다. 이런 붉은털원숭이를 세계 최초로 성체 세포를 이용해 복제하고, 2년 넘게 생존시킨 연구가 화제다.1월 16일, 루 팔롱 중국과학원 유전학발생생물학 연구소 연구원이 이끈 ... ...
-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애초에 초고에너지 입자는 100년에 한 개씩 떨어지는 입자를 모아 분석해야 하는 연구 분야니까요. 10년, 20년을 내다보고 연구해야 하죠. 앞으로 TA 콜라보레이션은 관측 면적을 넓히는 한편, 데이터를 더 효율적으로 뽑는 방법을 고안해 보려고 합니다.” 김 교수는 답했다. 출처도, 경로도 ...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가져올지도 모른다. 실제로 남아공이 SKA 망원경 유치, MeerKAT 건설 등 기초과학 분야에 과감한 투자를 한 배경에는 기초과학과 기술혁신의 상관관계를 이해한 남아공 정부 관계자들의 혜안이 크게 작용했다고 생각한다. 실현을 위해 노력한 남아공 과학기술자들에게 경의를 보냄은 물론이다. 한국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