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배양기
badge
문장
배양액
d라이브러리
"
배지
"(으)로 총 142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그리고 다음 날
배지
를 확인하면 미생물 수 조 마리가 발견된다. 동전에 있던 미생물이
배지
에서 순식간에 번식하기 때문이다. 미생물은 20분마다 한 번씩 세포분열을 한다. 1시간 뒤에는 미생물 1마리가 8마리(1→2→4→8)가 된다. 하루가 지나면 이 미생물은 4,722,366,482,869,650,000,000개로 늘어난다. .. ...
[매스미디어] 도시어부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많이 경험한 마이크로닷은 바다에서만큼은 형님들보다 뛰어납니다. 덕분에 황금
배지
5개로 도시어부 3명 중 1위를 달리고 있지요. 앞으로는 바다낚시뿐만 아니라 민물낚시도 한다는데, 누가 마이크로닷의 독주를 꺾을지 기대됩니다. 어제만 해도 황금어장! 오늘은 쪽박어장? 도시어부들은 첫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사이의 상호 작용 횟수를 기록해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소시오메트릭
배지
(sociometric badge)’를 24시간 몸에 달고 있었다. 고립감을 줄이기 위해 3차원 가상현실도 이용했다. 2013년에는 오랫동안 인스턴트를 섭취하는 경우와 본인들이 직접 요리한 음식을 먹는 경우에 대해 각각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자폐아의 유도만능줄기세포와 정상인 아버지의 유도만능줄기세포가 실험실
배지
에서 대뇌로 발달하는 과정을 비교한 겁니다. 바카리노 교수팀은 이를 통해 자폐아의 경우 ‘FOXG1’이라는 유전자가 더 많이 발현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또 이로 인해 자폐아의 유도만능줄기세포가 뇌로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별처럼 반짝이는 야광충도 만났다. ➊ 해삼을 해부한 뒤 해삼 내부에 사는 미생물을
배지
로 옮기고 있다.➋ 연구단이 바다에서 거대한 해삼을 발견해 관찰하고 있다.➌ 맹그로브 숲을 탐험하며 염분이 빠져나와 짠맛이 나는 맹그로브 잎의 표면을 맛보기도 했다. 바다 탐험의 대미는 생태계 보존이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배양하는
배지
에 대장균을 넣은 뒤 한쪽에만 소금을 첨가했다. 그 결과 소금을 첨가한
배지
에서 자란 대식세포가 훨씬 빠르게 대장균을 파괴했다. 동물실험도 마찬가지였다. 두 그룹의 실험쥐에게 먹이는 소금량을 다르게 하고 피부병원균을 감염시켰더니 소금을 많이 먹인 쥐들의 회복이 빨랐다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지원군 선배의 고백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거기에는 몇 달 전 사건 현장에 떨어져 있던
배지
가 들려 있었어요.“이게 바로 SSG
배지
야. SSG는 학교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알고 있어. 그리고 자신들의 뜻대로 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지. 그 정점에 누가 있는지는 아주 소수만 알 뿐이야.”지원군 선배의 말에 시원이가 되물었어요 ... ...
[과학뉴스] 한강 발원지서 신종 ‘수질정화 미생물’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실험실에서 배양하기 어려운 미생물이지만, 연구팀은 검룡소와 비슷한 조건의
배지
를 만들어서 코라이언스를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안영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코라이언스의 발견으로 국내 담수 수계가 유용생물자원의 서식지로 가치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배양기술을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이야기를 나누는 것에서 벗어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주고받고자 했던 원래의 취지가
배지
를통해 드러나 너무나 즐거웠다. 내년에도 다시 찾아올 김치콘을 기대하시라 ... ...
[과학뉴스] 예쁜
배지
가 과학자들의 마음을 녹였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확실히 자료를 공유하는 비율이 높았다고 평가했다. 멜로리 키드웰 연구원은 “
배지
를 다는 순간 일종의 책임감이 생긴 것”이라며 “9개 다른 저널들도 유사한 제도를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연구결과는 ‘플로스 바이올로지(PLOS biology)’ 5월 12일자에 실렸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