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양"(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게임을 가르치다! 미니 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연구팀은 쥐 배아의 뇌세포와 사람의 줄기세포를 미세 전극판으로 된 접시에 배양했어요. 그 결과 80만 개의 뇌세포들이 만들어졌지요. 연구팀은 ‘접시 속의 뇌’라는 의미로 이를 ‘디시브레인(Dish+Brain)’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연구팀은 미니 뇌(뇌세포들)가 퐁 게임을 할 수 있게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커피 찌꺼기에서 새싹이 쑥쑥! 친환경 씨앗 화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굳어서 딱딱한 화분이 완성되지요. 완성된 화분에 배양토를 넣고 씨앗을 심어 주세요. 배양토는 식물을 기르기 위해 거름을 섞어 만든 흙이에요. 씨앗을 심고 나면 흙 표면이 마르지 않게 분무기로 물을 자주 뿌려 식물을 키워 보세요. 이때 화분에 물이 닿으면 갈라질 수도 있으니 화분에는 물이 ... ...
- [4컷 만화] 로봇에게 사람 같은 피부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손가락을 감싸는 얇은 조직이 생겼어요. 이 조직 위에 피부를 구성하는 각질 세포를 뿌려 배양했더니 로봇의 피부가 만들어졌지요. 이 피부는 주름이 있어 유연하게 구부러지고 늘어날 수 있으며 물에 젖지 않아요. 연구팀은 이 피부에 상처를 내고 콜라겐으로 이루어진 붕대를 붙였더니 상처가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세포의 대화를 가로채 약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치료제는 세포를 직접 키워 치료에 이용한다. 당연히 환자에게서 세포를 채취한 후 대량 배양을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는데, 엑소좀 은 대량 생산이 훨씬 간편하다. 생체 유래 분자라 거부 반응이 없고 안전하다는 이점은 덤이다. 그렇다 보니 많은 바이오·제약 기업에서 엑소좀 연구에 시동을 ... ...
- [용복합파트너@DIGST] 알츠하이머와 뇌 노화 사이 비밀을 찾아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오가노이드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이다. 오가노이드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배양하거나 재조합해서 만든 장기유사체다.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뇌세포 모델은 세포 초기 분화 시점부터 뇌를 관찰할 수 있다. 흔히 ‘미니 장기’나 ‘유사 장기’라고 부른다. “환자의 머리카락, 피부 등 ... ...
- 노벨상 분석 보고서 I 현대 과학의 토대를 쌓은 수상자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클릭화학이 쓰인다. 최 교수는 “이외에도 고분자를 클릭화학으로 결합시켜 3D로 세포를 배양하거나, 어떤 물질의 표면에 다른 물질을 붙여 표면의 성질을 바꾸는 표면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클릭화학과 생체직교화학이 쓰이고 있다”고 말했다.KISTI의 분석 결과에서도 클릭화학의 파급력이 잘 ... ...
- [가상 인터뷰] 박테리아 모양 자유자재로 만드는 비법은?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연구팀은 저와 제 친구들에 여러 종류의 부착소를 하나씩 붙였어요. 그리고 저희를 배양지 위에 심었어요. 부착소끼리 서로 잘 붙는 부착소와 붙지 않는 부착소를 어떻게 조합해 심는지에 따라 막의 모양이 다르게 나타났어요. 연구팀은 제가 자라며 만드는 막의 모양이 지닌 규칙을 알아내기 위해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영정사진 No, 실시간 LIVE로 세포를 보는 현미경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년 뒤에도 연구자들이 현미경을 보고 있을까요? 대부분이 무인화, 자동화될 거예요. 세포 배양, 측정, 분석이 큰 기계 속에서 자동으로 돌아가고, 사람들은 결과만 보고 분석할 겁니다. 그 시스템으로 가기 위한 준비라고 보면 됩니다. 기존의 현미경 산업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을 것입니다.”박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긁어 세균을 채취했습니다. 그리고 세균의 양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채취한 세균을 배양했죠. 가장 깨끗한 물건은 무엇이었을까요? ●영상 제목스마트폰이 변기보다 더러운 것을 증명해 ... ...
- [논문탐독] 세상을 들어 올리는 지렛대 과학자들의 실험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돌아왔습니다.사회의 큰 문제였던 탄저병의 원인은 실험실 안에서 밝혀졌습니다. 배양접시에서 자란 미생물, 탄저균입니다. 도저히 다룰 수 없었던 탄저병도 통제할 수 있었습니다. 파스퇴르는 탄저균의 독성을 약화한 후 동물에 주사했습니다. 이들은 탄저병에 걸리지 않거나 약하게 앓았고,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