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사능
방사
복사선
방사물
d라이브러리
"
방사선
"(으)로 총 918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3. 일본의 오염수 방류 기준이 적절하지 않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방사성 물질이 인체에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가 없다.❸광부들의
방사선
노출 문제가 대두되자 ‘워킹 레벨 월’이라는 새로운 단위가 만들어졌다. 오염수 방류 시에도 그 영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단위가 필요하다 ... ...
팩트체크7. 오염된 수산물이 식탁에 오를까?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작업을 하는 사람이다. 이 사람이 한 해 동안 피폭된 정도는 0.000002~0.000003mSv였다. 인공
방사선
에 대한 추가 피폭 제한 권고치(연간 1mSv)를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물론 일본이 제공하는 정보를 100% 그대로 믿을 수는 없다. 게다가 모델은 모델일 뿐, 모든 변수를 반영한 결과라고 말할 수도 없다. ... ...
팩트체크4. 일본이 방출한다는 삼중수소 양, 문제없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배출되는 삼중수소의 양 자체는 자연계나 다른 국가 방출량에 비해 적다는 것이 핵물리학
방사선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❷해류의 흐름 시뮬레이션에서도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확인됐다. 오염수가 제주도까지 오는 데 4~5년 정도가 걸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했다 ... ...
팩트체크6. 삼중수소가 몸 속에서 암을 유발한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방사선
으로 인한 유전자 변형이 암을 일으킨다는 역학적 근거가 부족하다.❹저선량
방사선
의 위험을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다. 드물지만 암세포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 ...
OUTRO. 위험 인식의 정치성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호언장담을 했다(이후 반박 성명이 발표돼 위험한 주장임이 밝혀졌다). 6월에는
방사선
약학을 전공하는 한국의 한 대학교수도 처리된 오염수를 약 480배 희석한 물을 마실 수 있다고 선언했다. 그는 국민들이 후쿠시마 오염수 위험을 너무 과장해서 생각하는 게 답답해서 이런 인터뷰를 했다고 밝혔다 ... ...
[SF소설] 귀향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가끔 그녀를 만나러 갔다.지구는 더 망가져있었다. 이주 작업은 막바지로 치달았다.
방사선
을 방출하지 않는 고속 우주선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이주 예정일이 잡히고 우주선 티켓이 암암리에 팔렸다. 관계자들은 우리에게 말했다. 지구엔 더 이상 희망이 없다고. 그러니 함께 떠나지 ... ...
다가온 누리호 3차 발사, 발사 관전 포인트는 ‘위성’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적합하다. KAIST 인공위성연구소가 개발한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2년 동안 지구와 우주
방사선
을 관측한다. 지구를 관측하는 X선 대역 영상레이다를 비롯해 위성의 열제어장치, 전력증폭기, 복합항법수신기, 태양전지배열기를 국내 개발했다. 7기의 큐브위성은 6개월 또는 1년 동안 다양한 임무를 ... ...
Habitat ‘화성 1년 살이’를 계획 중이라면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16/j.matt.2019.07.023 김 연구원은 “황 콘크리트와 고분자 소재 모두 극심한 온도 변화와 우주
방사선
노출로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어떤 건축 자재가 가장 적합할지 알아내기까지는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하다. 하지만 건축 방식에는 ‘대세’가 있다. 3D 프린팅이다. NASA의 마스 듄 ... ...
[뉴스&인터뷰] 인류의 질문에 답하는 곳, IBS 중이온 가속기연구소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구역을 볼 수 있는 시기에 랩투어가 진행돼서 정말 행운”이라며 “빔 출력이 시작되면
방사선
이 발생해 접근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터널 구역 중에서도 초전도 가속모듈이 줄지어 늘어선 광경을 마주한 순간은 랩투어의 하이라이트였다. 초전도 가속모듈은 중이온가속기에서 입자(빔)를 ... ...
AI 시대 주목받는 직업 8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의학 데이터로 말기 암 환자도 살릴 연구를 하고 싶어요"의사 과학자 | 차유진 |
방사선
종양학과 전문의텸AIST 의과학연구센터 교수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와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을 졸업 후, 5년간 한국원자력의학원에서 임상 수련을 받고 전문의가 됐어요. 레지던트 시절 아무리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