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화
정신문명
물질문명
개화
교양
문화도
근대화
d라이브러리
"
문명
"(으)로 총 1,215건 검색되었습니다.
[Reth?nking] 기하학에서 재다의 의미는?
수학동아
l
2023년 05호
기하학은 수학에서 가장 오래된 분야 중 하나다. 이는 ‘재는 행위’에서 혹은 ‘재기 위해’ 발전해왔다. 그렇다면 기하학에서 ‘재 ... 재다에 대해서 생각해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왜 유클리드 기하학이 2000년 동안 서구
문명
을 지배했을까?’를 주제로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에너지 위기 시대, 초내열 금속이 해결사?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자원이 빠른 속도로 고갈된다면 아찔한 상상은 현실이 될 수 있다. 우리 다음 세대는
문명
을 누릴 권리가 없을지도 모른다는 뜻이다. 자원과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답은 에너지 효율(열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비행기를 예로 들어보자. 대륙을 넘어 ... ...
[SF 소설] 우리 할머니들이 깨어날 때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본은 아이를 유괴하여 학대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학대라니. 그랬다. 아이를 자연 속에서
문명
의 교육 없이 키운 것은 학대였다. 아이는 DNA를 조작해 기괴할 정도로 뛰어난 수학 학습능력을 가진 채 태어났다. 아이는 2년 동안 그 능력을 나뭇잎의 잎맥 분포도를 만들거나 이끼 번식의 패턴을 ... ...
이휘소는 원자폭탄 개발에 관여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그를 제대로 존경하고 흠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김태호 전북대 한국과학
문명
학연구소 교수. 서울대에서 한국 과학기술사를 전공했다. 역동의 한국 현대사를 이해하려면 과학기술을 빼놓을 수 없다는 생각으로 통일벼, 한글타자기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오답이라는 ... ...
[People] 100만 자리에서 100조 자리까지...이와오 엠마 하루카
수학동아
l
2023년 03호
년 동안 계속해서 원주율을 계산해 왔어요. 원주율 계산이 발전해 온 과정을 통해 인류
문명
의 진화를 비춰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요. Q. 원주율은 당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원주율에 관해 여러 사람과 이야기할 수 있어서 좋아요. 공통의 도전 커뮤니티가 생겼지요. ... ...
[Rethinking] 세 번째 질문, x가 방정식에서 사라진다면?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미지수 x의 발견은 새로운 도구가 주어지는 상황인 거지요. 그래서 x의 사용은 우리
문명
의 발전을 대표하는 하나의 사건이라고 말할 수는 있어요. 어찌 보면 우리가 자연 세계를 탐구하는 언어가 더 많아진 것이지요. 아까 기호를 쓰지 않는 것의 장점을 이야기하긴 했지만 그건 아이디어를 처음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배아 착상을 모방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들어보겠습니다. 우리는 한국의 계절, 음식, 문화에 익숙해져 있는데요. 만약 고도로
문명
화한 외계인이 우리를 화성으로 강제 이주시킨다면 어떻게 될까요? 지구에서 생활하던 것과 똑같이 생존하고 생활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인간임은 변하지 않지만 큰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며 우리의 행동과 ... ...
[미궁 1004] 미지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줄거리 : 기후변화로 지구가 사막화되고
문명
이 몰락한 미래. 하늘에서 떨어진 알 속에서 발견된 소녀와 유목민 티티르는 자신들을 도와준 왕자를 따라 고대 유물을 찾아 나선다. 왕자가 찾던 유물이 무기라는 것을 안 티티르와 소녀는 왕자를 피해 도망친다. 이후 구름산 절벽에 도착하는데… ... ...
[기획] 바삭바삭 튀겨라! 튀김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문명
이 발달하면서 인류는 식재료를 불에 굽는 것뿐 아니라 다양하고 복잡한 조리법을 발명하기 시작했어요. 대표적으로 끓는 기름에 재료를 익히는 튀김이 있죠. 튀김에는 어떤 과학이 숨어 있을까요? 더 맛있는 튀김을 만들기 위해 사람들은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튀김을 좋아하는 건 본능! ...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한국을 대표하는 과학자는 누구일까?”장영실, 이휘소, 석주명 등 많은 사람이 떠오르지만, ‘씨 없는 수박’을 발명한 것으로 유명한 농학자 우장춘을 지나칠 수 없다. 그런데 우리가 잘 아는 씨 없는 수박이 우장춘의 발명이 아니라면?한국과학사 연구자 김태호 교수에게 우장춘의 진실에 관해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