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
공
허무
d라이브러리
"
무존재
"(으)로 총 184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사, 신선, 여래, 그리고 원숭이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이야기 하나양강 땅에 큰 부자가 살았다. 아들은 없고 십 오륙 세 되는 딸이 하나 있었는데, 시름시름 앓더니 명의를 모두 불러 보여도 차도가 없었다. 병을 고치면 만금을 주겠다는 방을 걸자 소문을 듣고 어중이 떠중이들이 몰려들었으나 당연히 병은 더 나빠지기만 했다.그때 누군가 부자에게 도 ... ...
연금술과 화학의 경계에서 색을 만들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무지개가 풀어 헤쳐졌다’17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무지개는 예술가와 철학자의 로망이었다. 그러나 그 환상은 영국이 낳은 천재 과학자 뉴턴에 의해 산산조각났다. 뉴턴은 좁은 틈으로 들어오는 빛을 간단한 실험도구인 삼각 분광기를 이용해 ‘쪼개’는 단순한 방법으로 무지개를 한갓 빛의 장 ... ...
회색 도시 속, 녹색 숲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요즘 들어 닥터 그랜마가 너무 조용하다. 설마 지구정복의 꿈을 버린 걸까? 싸울 상대가 없어지면 자신도 일자리를 잃게 되는 탓에 걱정이 된 지구방위 그랜파. 결국 닥터 그랜마의 집을 직접 방문해 이유를 알아 보기로 했다. 그런데 이게 웬일? 그곳에는 온 얼굴이 회색이 된 채 시름시름 말라가는 ... ...
꽃 호르몬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식물도 계절을 구분할까. 식물 역시 24시간을 주기로 돌아가는 생물시계를 갖는다. 생물시계를 통해 기온과 낮의 길이의 변화(광주기)를 판단하면서 계절 변화를 알아차린다.꽃 피는 시기도 바로 광주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 사실을 발견한 사람은 미국 농무성 연구소에서 일했던 해리 가너와 와이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기자가 일하는 회사의 구내식당 점심시간. 메뉴를 보자마자 한숨이 나온다. 한식과 일품 요리 두 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한식은 돼지고기를 넣고 끓인 뚝배기 김치찌개, 일품요리는 데리야끼 닭안심 볶음밥이다. 추운 날이니 찌개도 맛있을 것 같고 고슬고슬해 보이는 볶음밥도 입맛을 돋울 ... ...
성스러운 생태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그 행성은 헤아릴 수 없이 오랜 세월 동안 바위 하나 개울 한 줄기까지 신들이 정성껏 가꾼 우주의 정원이었다. 그리고 그 정원에는 오직평화롭고 아름다운 것들만이 평화롭고 아름답게 살아갔다.그는 그 행성에 밤에 도착했다. 아름답고 평화로운 밤이었다. 지구의 달보다 조금 더 큰 위성이 밤하 ... ...
생리의학상 - 체세포의 시계는 거꾸로 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생명체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인 세포. 인체에는 약 60조 개의 세포가 있으며 그 종류는 약 220가지에 이른다. 수많은 세포는 우리 몸을 이루며 각각 특정한 기능을 수행해 생명활동을 유지시킨다. 놀라운 점은 이 모든 세포가 정자와 난자가 만나 탄생한 수정란이란 단 하나의 세포에서 유래했다는 ... ...
상어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영화 ‘죠스’를 보고나면 상어는 늘 공포의 대상이다. 그러나 상어라고 모두 사나운 것은 아니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현재 알려진 400여 종의 상어 가운데 사람을 공격하는 상어는 27종에 불과하다. 상어는 뼈가 부드러운 연골어류에 포함되며, 몸이 방패비늘(순린)로 덮여있고 강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안녕하세요? 전 숨쉬는 상어 쥴리예요. 여기서 재미 있는 대결이 벌어진다고 해서 사회를 보러 왔어요.‘어린이과학동아’에서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를 뽑는다더군. 귀요미 상어는 물러나 있지? 의 주인공인 백상아리가 왔으니까!흥! 범고래를 빼놓고 바다의 지배자를 얘기할 수 있을까?뭐…,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닥치고 방정식이나 푸시지!(Shut up and calculate!)”이유는 묻지 말고 계산이나 하라는 이 비아냥은 놀랍게도 양자역학이 간혹 듣는 비판이다. 20세기 가장 성공적인 이론 중 하나지만, 양자역학은 결점이 없는 이론이 아니다. 오히려 너무나 뻔한 결점이 있어서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무엇이 현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