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멸망"(으)로 총 282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광경은 우리우리스의 우주선에서도 생생히 포착되고 있었다. 의원과 보좌관은 작년에 멸망시킨 고고고 종족으로부터 가져온 언어 분석기를 이용해서 그 남자의 말을 모두 해독했다.“의원님, 보십시오. 저 정도면 자신이 행성 최강이라고 자신하는 태도 아닙니까?”“그렇네. 저 정도면 거의 은하계 ... ...
-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먼저 작품을 관람하기를 권합니다. 테넷은 ‘인버전(inversion)’을 이용해 세상을 멸망시키려는 악당 사토르와 이에 맞서 비밀임무 ‘테넷’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인버전은 우리말로 ‘도치’ ‘위치 반전’ 등의 뜻을 가진 단어로 영화에서 사물의 엔트로피를 반전시켜 시간을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쓰거나 자원을 바꾸더라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지 못하면 행성의 환경이 나빠져 멸망하게 된다는 계산이었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성공적으로 정착시켰다고 가정한 1가지 시나리오만이 안정적인 미래를 예측했어(자세한 시나리오가 궁금하면 36쪽을 참고해!). 그러니 프랭크 교수가 말한 ‘210 ...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하드웨어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을까요? 인간으로서의 윌과 컴퓨터로서의 윌, 인류 멸망 이후에 지구를 관리하는 인공지능들은 각각 그 자체로 충분히 지성이 있는 존재입니다. 지성을 담는 그릇이 무엇이든 간에 하나의 지성체로서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는 수준입니다.문제는 그릇을 옮기는 ... ...
- 인류가 좀비 바이러스에서 살아남는 법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밖이었다. 셰필드대 수학과 박사과정 학생들은 좀비 바이러스가 퍼졌을 때 인류의 멸망을 막기 위해 좀비를 길들이는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그 결과 인류는 좀비 바이러스로부터 생존할 수 있었습니다. 바이러스 발생 초기에는 사망자가 발생했지만 야생 좀비를 길들이면서 좀비에 의한 사망자 ... ...
- [현장취재] 15주년 팬파티, 오늘은 우리가 주인공!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한편 박동현 작가님은 지구 유일의 생존자(?)가 된 마이보마저 무덤에 갇힌 채 지구의 멸망을 기다리는 만화를 가리키며 “마지막 컷에서 동굴 속에 혼자 남아 다시 지구를 살릴 기회를 노리는 마이보가 등장해 희망을 준다”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기도 하셨답니다. 만화 이어 그리기를 함께한 ... ...
-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나의 마더’는 2019년 넷플릭스에서 공개한 SF영화입니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인간은 멸망했고, 피난처 밖의 세상은 황폐한 모습입니다. 피난처는 때가 됐을 때 인간을 부활시키기 위한 시설입니다. 인공지능 로봇 ‘마더’는 여자아이 한 명을 정성스레 키우며 윤리와 의학 같은 여러 분야의 ... ...
- 나는 입이 없다 그리고 나는 비명을 질러야 한다 vs. 아이, 로봇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인간을 통제하려고 합니다. 창조자보다 우월한 능력을 갖게 된 피조물이 창조자의 멸망을 막겠다는 것이죠. 그런 대의를 위해서 소수의 희생을 감수하겠다는 생각입니다.이와 비슷하게, 자녀에게 집착하는 부모처럼 인간을 통제하는 인공지능을 다룬 작품도 있습니다. 최근에 넷플릭스가 공개한 ... ...
- 레디메이드 보살 vs. 성 아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성 아퀸을 찾아서’는 ‘SF 명예의 전당’ 1권에 수록돼 있습니다. 배경은 현대 문명이 멸망한 이후의 세상입니다. 아직 남아 있는 기술 문명이 지배하는 가운데, 종교는 금지된 문화가 됐습니다. 가톨릭 역시 비밀리에 활동하고 있지요. 가톨릭 교황은 사람들의 영혼을 다시 하느님에게 인도하기 ... ...
- 진화학자가 번역한 ‘종의 기원’ 자연 선택 이론은 왜 ‘혁명’이 됐을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달리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맬서스는 인구 과잉으로 인한 인류의 멸망가능성을 보임으로써 계몽주의적 낙관론을 비판하려 했다. 그는 누가 죽고 누가 사는가를 결정하는 ‘생존 투쟁(struggle for existence)’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윈은 암울한 현실과 미래가 짙게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