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릇
습관
뿌리 깊음
완고
깊은
고질
d라이브러리
"
만성
"(으)로 총 46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능×유전 지능도 노력하면 좋아지나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학습 능력은 수면 시간과 관계가 깊다. 흔히 잠은 8~9시간 자는 것이 좋다고 한다. 밤잠이
만성
적으로 부족할 경우, 지능의 주요 요소인 집중력이 떨어지고 이는 곧 학습 능력의 저하로 이어진다. 수면의 질도 무시하면 안 된다. 잠이 잘 오지 않는다고 술을 마실 경우 잠은 들 수 있겠지만 수면의 질이 ... ...
[과학뉴스] 피부 속 통증 느끼는 새 감각기관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다른 기관도 물리적 자극을 인식하는 데 관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
만성
통증의 원인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126/science.aax645 ... ...
고추 vs. 마라 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자주 섭취하면 위염 등 위장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윤 교수는 “천식 등
만성
호흡기 질환이 있는 환자는 매운 향이 호흡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삼가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 ...
기회는 지금이야 당장 달려볼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변화가 있었다. 두 학생 모두 ‘꿀잠’을 자게 된 것이다. 새벽까지 과제를 하며
만성
피로에 시달렸다는 서 양은 “아침에 일어나기가 어렵지 않다”며 “일주일간 기숙사에서 주는 아침을 한 번도 빼놓지 않고 먹었다”며 뿌듯한 목소리로 몸의 변화를 전했다. 김 군도 “잠을 잘 자서 그런지 ... ...
통증은 고통스럽기만 한 걸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치료가 핵심이다. 수술 후 통증이나 외상 후 통증 등 급성 통증이나 신경병증성 통증 등
만성
통증을 줄이기 위한 치료를 한다. 통증 치료는 의학적으로 마취와 관련이 깊다. 가령 극심한 통증을 줄이기 위해 통증의 전달 경로인 말초신경이나 척수 등 중추신경을 차단하는 신경차단술은 마취제를 ... ...
26개 뼈와 33개 관절의 정교한 하모니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그는 평발이 지속돼 신발과 마찰이 생겨 발 안쪽에 통증을 동반한 굳은살이 생기거나,
만성
적으로 발이 피로하거나, 하지 변형이 일어나 걸을 때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 등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평발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면 성인기에 생길지 모를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치료를 할 ... ...
[과학뉴스]
만성
스트레스가 뇌신경질환 유발? 핵심 유전자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사멸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 교수는 “이번 연구로
만성
스트레스가 유발하는 뇌신경 질환을 치료하는 열쇠가 SKG3 유전자라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향후 SKG3의 작용을 억제해 뇌신경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doi: 10.1080/15548627.2019.163022 ... ...
[10대의 약] 봄 꽃가루가 '악마'로... 알레르기 비염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유발하는 물질인 ‘알레르겐’에 우리 몸이 과민반응을 나타내면서 발생하는
만성
비염입니다. 그런데 증상이 비슷해 환자들이 코감기와 알레르기 비염을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코감기는 콧물이 끈끈하고 앞으로 나오기보다는 뒤로 넘어가기 쉬우며 재채기가 적게 납니다. 또 열이 나는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세포성-
만성
’으로 나누는데, 초급성은 수분 후, 급성은 수일 후, 세포성은 수개월 후,
만성
은 수년 후 면역거부반응이 나타난다. 지지부진하던 이종 간 장기이식 연구는 2002년 1월 랜달 프래서 미국 미주리대 농업·식품·천연자원대 교수가 세계 최초로 알파-갈락토오스 유전자를 제거한 형질전환 ... ...
[10대의 약] ‘키 크는 주사’ 맞으면 170cm가 180cm되나요?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성장호르몬이 제대로 생성되지 않는 소아 성장호르몬 결핍증이나 터너증후군,
만성
신부전 등 성장 장애 환자가 대상입니다. 성장호르몬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키가 잘 자라지 않는 특발성 저신장증에도 성장호르몬 치료가 처방됩니다. 이런 치료 목적의 성장호르몬 처방은 국내에서만 매년 1만 여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