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재"(으)로 총 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관계”라며 “노벨상 수상 이전에 스트리클런드 교수가 미디어에 많이 노출됐다면 등재가 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국제학술지 ‘네이처’가 주목한 ‘다양성 챔피언’ Jess Wade(제스 웨이드) 하루에 한 명씩, 과학계의 숨은 영웅을 매일 발굴하는 사람이 있다. 바로 영국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발자국 화석들을 보유하게 됐다. 문화재청은 2008년 남해안 공룡 화석산지를 세계유산에 등재하기 위해 신청한 적이 있다. 당시에는 이 지역이 세계적인 가치가 있음을 입증하는 데 실패했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 진주 혁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발견된 백악기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들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학교 밖 체험 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대대로 살아온 한국의 대표 동성마을입니다. 2010년 마을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는데, 와가(기와집)와 초가가 오랜 역사 속에서도 잘 보존됐지요. 특히 조선의 대유학자인 류운용 선생과 임진왜란 때 영의정을 지낸 류성룡 형제가 자란 곳으로 유명하답니다. 마을 이름이 하회인 것은 ... ...
- Part 4. 한반도 산은 지금 탈모 진행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영향으로 개체군이 줄어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멸종위기종 목록에서 위기종으로 등재되기도 했지요. ●기후변화 지표종 : 환경부에서 선정한 기후변화에 민감한 생물종. 최근 국립공원관리공단 연구팀은 지리산국립공원 반야봉에서 집단으로 죽은 94그루의 구상나무 나이테를 관찰해 죽은 ...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크다. 작품 ‘신뢰’는 2017년 기네스북에 ‘인간 형상을 한 가장 작은 조각’으로 등재됐다.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80μm, 100μm, 20μm로 전체 크기가 머리카락 한 올 두께보다 작다. 80μm는 사람의 손톱이 5~6시간 동안 자라는 길이와 비슷하다. 오른쪽 박스는 여자의 손을 확대한 것이다. Fragile ... ...
- [과학자의 부엌] 소금과 유산균의 콜라보, 김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무채를 썰고 양념을 버무립니다. 김장은 2013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된 우리의 아름다운 전통입니다. 소금에 절이면 삼투압 현상 나타나배추김치, 깍두기, 알타리 무김치, 파김치, 부추김치, 나박김치, 동치미, 오이소박이, 열무김치, 갓김치, 순무김치, 양배추김치…. 김치는 30 ... ...
- [Culture] 치킨의 미래는 과학에 있습니다 ‘치믈리에’ 자격증 도전기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대한 지식과 감별 능력을 갖춘 ‘치킨 감별 전문가’를 말한다(국립국어원이 표준어로 등재한 용어는 아니다). 치믈리에 자격시험은 크게 예선과 본선 두 단계로 이뤄진다. 예선은 온라인으로 치러진다. 필기시험 10문제를 모두 맞혀야 본선에 진출할 자격이 생긴다. 올해는 57만여 명이 온라인 ... ...
- [화보] 한국의 산지승원과학동아 l2018년 09호
- , 대흥사(전남 해남군) 등 7개 사찰이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이란 이름으로 등재됐다. 이들 산사는 지금까지 1000년 넘게 승려들의 수도 생활이 이뤄지고 있는 역사의 산실이기도 하다. 통도사 경남 양산시 하북면 영축산에 위치한 통도사는 불국사, 법주사와 함께 한국 3대 사찰 중 ... ...
- Intro. 노벨상 향한 대장정 스타트, 중이온가속기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우주를 재현하고, 한국의 이름을 붙인 새로운 원소 ‘코리아늄’을 발견해 주기율표에 등재하겠다는 포부도 세웠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노벨상 향한 대장정 스타트, 중이온가속기 라온[Infographic] 세계 주요 가속기와 노벨상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라온의 ... ...
- [과학뉴스] 데나토늄 벤조에이트의 실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벤조에이트는 ‘쓴맛의 왕’으로 불린다. 지구상에서 가장 쓴 화학물질로 기네스북에도 등재됐다. 특별한 색이나 냄새는 없다. 이 물질은 1958년 영국의 제약회사인 맥팔렌 스미스가 국소마취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했다. 데나토늄 벤조에이트의 농도가 0.05ppm(1kg에 0.05mg 들어있는 수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