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팀목
기둥
가로보
들보
도리
d라이브러리
"
대들보
"(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양자론 구축의
대들보
빛과 물질의 이중성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물질 세계에 대한 새로운 상을 제시한 빛과 물질의 파동-입자 이중성은 양자가설이 이론으로 성립되는 기초를 제공했다.파동은 연속적이고 공간에 퍼지는 특성을 가진다.반면 입자는 불연속적인 단위를 가지고 특정한 지점에 에너지가 집중되는 특성을 가진다.이렇게 양립할 수 없을 것 같은 두 ... ...
과학관 2백배 즐기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수 있는 이유를 생각해보면서 공포(지붕의 무게를 기둥에 전달하도록 기둥 위에서부터
대들보
아래까지 짧은 부재를 중첩해 짜맞추어 놓은것)의 구조를 살펴본다.문화재가 있는 곳이 아니라도 좋다.광릉수목원 같은 곳에서는 삼림욕 이외에 얻을 것이 많다.예를 들어 습지에는 다른 곳과 달리 많은 ... ...
단청의 전통색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흑색의 기본색으로 단장한다. 단청에는 여러 무늬가 쓰이지만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대들보
등의 부재 양쪽 끝과 기둥머리, 서까래 등의 귀퉁이에 놓은 모루초 무늬다. 이중 휘무늬에서는 단청배색의 특성이 뚜렷이 나타난다. 건물의 성격과 규모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하는 휘는 보색관게인 ... ...
착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1백80cm, 가운데는 2백40cm간격이다. 또 군데군데에 휘어지거나 경사진 모습이 발겨된다.
대들보
의 가운데가 위로 볼록하게 휘어져 있으며, 가장자리의 기둥은 안쪽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기둥은 위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바닥 부분의 지름은 약 1백80cm지만 꼭대기 부위의 지름은 1백20cm정도밖에 안된다 ... ...
당신의 체형은 정상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삐뚤어지는 것이다.연세의대 문재호 교수는 "나쁜 습관으로 가장 피해를 보는 것은 몸의
대들보
라 할수 있는 척추"라고 말한다. 척추는 몸의 기관중에 노화가 가장 빨리 일어나는 곳으로 20대부터 노화가 시작된다. 그는 "최근들어 요통과 경통(목아픔)으로 병원을 찾는 청소년들이 증가하고 있다 ... ...
집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나아가 자연과의 융합성을 이루어주는 것이다.그리고 전면과 후면의 두 기둥사이에 건
대들보
는 휘어진 재목을 그대로 이용한다. 즉 종도리를 떠받치는 자리에 가장 커다란 보의 휨힘(bending moment)을 받기 때문에 휜재의 휘어 올라간 곳을 위로 하고 가장 크게 휘어진 꼭지점에 대공을 놓아 종도리를 ... ...
대덕연구학원도시 구상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를 다시 이식받아 대덕 표준연구소 뜰에 심은 일이다. 뉴턴은 잘 알다시피 물리학 발전의
대들보
역할을 한 기초과학의 상징적 존재다. 그가 그의 고향집 정원에 있는 사과나무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만유인력 법칙'을 만든 것은 널리 알려진 이야기다. 표준체계확립을 위해 기초연구를 ... ...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부족중 가장 우수했다. 건축자재로는 석회암으로 제조한 블럭이나 단단한 나무로 만든
대들보
를 사용했다.건축물을 장식하기 위해 조각을 발달시키기도 했다. 특히 도자기의 제조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있었고 도자기에 그린 그림도 특출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 터키석 등의 보석세공에도 정교한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약 3백년 전 어느 목수가 정성들여 양반집 저택을 짓고 있었다. 집의 기둥을 세우고
대들보
를 멋지게 얹은 뒤, 서까래를 지붕위에 걸치려고 쭉쭉뻗은 나무들을 챙기기 시작했다. 이제 서까래만 올리면 대저택은 뼈대가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목수가 너무 긴장한 탓인지 서까래의 길이를 잘못 ... ...
고품위 콘크리트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균등하게 섞인 얼을가루는 녹아서 물이 된다.이 방법으로 물이 30%인 콘크리트 기둥과
대들보
를 만들어 강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압축강도는 1cm당 평균 6백60kg이나 됐다. 또 균열도 적고 품질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
이전
1
2
3
4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