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능동"(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두뇌의 능력,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미국 UCLA 신경학 및 신경생물학과 미얀카 메타 교수팀은 뇌 신경세포의 수상돌기가 능동적으로 전류를 발생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수상돌기는 뇌 신경세포 끝에 있는 나뭇가지 같이 생긴 조직으로, 지금까지는 신경세포 중심부인 세포체가 생성한 전류를 수동적으로 통과시키는 전선 역할만 ...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2017년 2월 현재 무려 3402회나 인용됐다). 전자회로의 수동소자 (증폭ㆍ전기에너지 변환 등 능동적 기능 없이 에너지를 소비, 축적, 통과시키는 소자)는 저항(R), 커패시터(C), 인덕터(L) 세 가지다. 추아 교수는 여기에 한 가지 더, 우리가 찾아내지 못한 잃어버린 소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효소에 의한 분해 위험도 적다. 여기에 암세포에 잘 달라붙는 엽산을 달아서 암세포를 능동적으로 찾아갈 수 있게 만들었다. 암세포는 표면에 엽산 수용체가 과도하게 발현돼 있기 때문이다.암세포에 들어가면 전달체가 자연스럽게 풀어지면서 siRNA들이 떨어져 나가 mRNA를 분해하기 시작한다. 한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깨달은 사람은 얼마나 됐을까. 진로를 바꿔야 한다고 생각한 사람은 몇이었을까. 능동추진에서 관성추진으로 전환하는 순간 방향을 바꾸는 게 과연 가능한지 계산해본 사람이 있기는 했을까? 그랬다한들,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파악할 시간이 있었을까? 드론들의 기록에 따르면 지구에서 태어나 ... ...
- [Career] 연구자의 꿈을 이뤄주는 ‘슈퍼’ 도우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대해서는 제대로 아는 사람이 많지 않다.슈퍼컴퓨터에 대한 막연한 오해가 있다. ‘능동적인 기계’라는 생각이다. 예컨대 슈퍼히어로 ‘아이언맨’이 수트 속에서 대화하는 인공지능 컴퓨터 ‘자비스’처럼 말이다. 하지만 슈퍼컴퓨터는 소프트웨어인 인공지능이 아니다. 소프트웨어에 따라 ... ...
- [Career]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돼 보실래요?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인간의 명령에 따라 물건이 작동되는 것이 사물인터넷이라면, 사이버물리시스템은 보다 능동적이다. 사이버물리시스템은 주인이 탄 무인자동차의 위치를 파악해 도착할 때 쯤 스스로 에어컨을 켜는 등 자체적인 판단력을 갖추고 있다.더 커진 권한, 더 편한 삶사물이 스스로 의사결정을 내리기 ... ...
- [Editor’s Note] 공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생명체여야, 보다 현실적으로는 둘 다 생명체여야, 공존의 참의의가 생긴다.공존이 능동적인 행위기 때문이다. 하나의 생명체가 자신 안에 상대를 용인하고 포용할 때 공존이 성립한다. 특집으로 다룬 미토콘드리아는 생명이 공존 지향성을 지녔음을 증명하는 놀라운 사례다. 세포와 미토콘드리아는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시작된 뒤부터는 적군의 함정과 잠수함을 찾기 위해 수동 소나가 이용됐다. 수동 소나는 능동 소나와 달리 음파를 인위적으로 쏘지 않고 물 속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듣는 장비다. 전후 냉전시대에 미 해군은 해저에 길다란 수중음향 감시시스템(SOSUS)을 설치해 구 소련의 잠수함이 내는 소리를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리 스몰린은 “시간은 실재하며, 미래를 만들어낸다”고 주장한다. 그는 시간이 현실의 능동적인 요소이며, 물리학의 법칙 자체가 시간에 따라 바뀔 거라고 제안했다. 과연 시간을 만들어내는, 그리고 우주를 만들어내는 가장 본질적인 실체는 무엇일까. 현대물리학의 다음 100년을 기대해 보자 ... ...
- [Interview]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답했다. 학생이 일방적으로 가르침을 받는게 아니라, 스스로 탐구하고 실험하는 등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교실 수업을 바꾸겠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거꾸로 과학교실’을 도입한다. 수업 전에 동영상 시청 등으로 미리 익히고, 교실에서는 그 내용을 바탕으로 토론을 하거나 과제를 하는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