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볼트
스크루
나사정
태핑나사
나사볼트
d라이브러리
"
나사못
"(으)로 총 4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최고급 윤활유 가진 관절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미끄러지기 때문에 속력을 줄여서 운전해야 한다.만일 모든 마찰이 없어진다면 못이나
나사못
은 벽에서 미끄러지고 무엇 하나 손에 쥘 수 없으며 조그만 바람도 결코 멎지 않을 것이다. 또 어떠한 소리도 반사를 계속하면서 사라지지 않는 메아리가 될것이다. 지구의 모양도 들쑥날쑥한 부분이 전혀 ... ...
수리 시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수리시설은 노동력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전통 과학기술이다. 자연 앞에 겸허하면서도 그 순리를 철저하게 이용했다.한반도와 만주 일대에서, 우리 민족은 지금으로부터 8천여년 전인 신석기시대 후반부터 농사를 지어왔다. 이때부터 사실상 농사짓는 데에 필요한 수리시설을 축조하고 수리도 ... ...
화학- 달콤한 솜사탕 내 손으로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보기만 해도 푸짐한 느낌을 주는 솜사탕. 그러나 동네 가게에서는 팔지 않죠. 야외에 나가야 사먹을 수 있는 솜사탕을 집에서 직접 만들어 먹어봅시다.따뜻한 봄날. 들로 산으로 놀러 다니기 딱 좋은 날씨죠. 가족과 함께 놀이동산 같은 곳에 많이 가게 될 거예요. 놀이동산에 가면 신기한 구경거리 ... ...
화학- 맞아도 아프지 않은 알코올 권총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튀는지 확인해 본다.⑧ 스카치테이프를 둘러 감아 전자팁을 필름통에 고정시킨다.
나사못
머리 등도 모두 둘러 감아야 손에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⑨ 알코올을 한방울 정도 넣고 뚜껑을 닫은 뒤 잘 흔들어 주고 나서 사람이 없는 쪽을 향해 발사해 본다. 자, 자신이 만든 권총이 마음에 드나요? ... ...
손톱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손톱을 잘 보호하려면 손톱으로 전화다이얼을 돌리거나 소포 편지봉투를 뜯거나
나사못
을 돌려서는 안된다고 일러 주었다. 또 손톱끝을 늘 부드러운 상태로 유지하고 표피를 다듬거나 뒤로 밀어내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럴 경우 각종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될 위험성이 크다는 것이다.아울러 ... ...
3 날틀에서 점보기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그 중에서 유명한 것이 사람의 팔과 다리로 날개를 퍼덕이며 나는 '날개치기 비행기'와
나사못
의 원리를 이용해 수직상승비행하는 '헬리콥터'의 설계도다. 모형도 만들어 실험까지 했다고 하는데 실제로 나는 꿈을 이루지는 못했다.그후 17세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발명가들이 여러가지 모양의 ... ...
바늘구멍 하나가 세계를 바꾼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작업에 초점을 맞춘 것이 고작. 그러나 실제로는 기계 속 구석지고 어두운 곳에 박혀있는
나사못
을 만져야 할 경우가 많았다. 문제점이 드러나자 연구의 과제도 분명해졌다.'기계속 어두운 구석까지 드라이버가 닿아야 한다. 이 문제를 산뜻하게 해결할 좋은 방법이 없을까?'하지만 쉽사리 얻어질 ... ...
1 에스컬레이터도 일종의 도르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피아노의 건반이 지레의 원리를 이용해 만들어졌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우리 생활 주변에는 지레나 톱니바퀴, 도르래를 이용한 도구들이 무수히 많다.역학적인 기계에는 움직이는 부품들이 들어있다. 이 움직이는 부품들에는 지레, 톱니바퀴, 벨트, 캠과 크랭크, 용수철 등이 있는데 이들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라디오 수리공이었던 필립은 일(一)자
나사못
이 쉽게 망가지자 오래 쓸 수 있는 십(十)자
나사못
을 고안했고, 그 생각을 자신있게 실천에 옮겨 세계적인 갑부가 되었다.요즘은 전국의 6천여개 학교에 발명반이 설치돼 학생들도 발명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 넘쳐 있다. 지난 해 대한민국 ... ...
기술사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만들 수 있고 국제간의 수출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 아무리 과학이 발달되어도 한쪽에서
나사못
하나를 제대로 만들지 못한다면 공허한 이론에 불과한 것이다.전후 일본과 서독 그리고 미국의 경제력은 유교사상이 아닌 사회저변의 장인정신에 의해서 비롯되었다. 즉 과학인 기술인 기능인이 정치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