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리"(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넷 과학공부방 베스트 10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이제, 과학의 재미와 성적을 모두 잡을 수 있는 사이트를 찾아 나서자!1. 안지랑골 나리네 http://www.xtel.com/~cogito/달구벌 안지랑골 마을 빨래터 아래 두번째 집인 경덕여자 고등학교 물리교사 문태국 선생님의 홈페이지다. 집주인은 말끔하게 집단장을 해놓고 손님을 물리사랑방과 환경사랑방에서 ... ...
- 눈 오는 날 강아지는 왜 행복할까과학동아 l1998년 12호
- 눈이 나려/하이얀 입김 절로 가슴이 메어/마음 허공에 등불을 켜고/내 홀로 밤 깊어 뜰에 나리면/먼-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김광균의 시 '설야'의 일부다. 사락 사락 눈 내리는 소리를 먼 곳에 여인의 옷벗는 소리라고 했으니 참으로 절묘한 표현이다. 그런데 가만히 따져보면, 그 소리의 정체는 ... ...
- 배설물 화석으로 멸종동물 생태 알아내과학동아 l1998년 08호
- 예를 들어 서양풍조목과 버섯, 나리와 그 변종, 유럽산 유리지치와 박하잎, 버섯, 나리 등이다. 또 포도와 비슷한 식물도 보였다. 이 연구팀은 이번에 쓰인 기술이 다른 동물의 배설물을 분석하는데도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 외래 생물종 각축장 한반도과학동아 l1997년 11호
- 그늘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어린 나무의 생장을 가로막기 쉽다. 그 탓에 애기나리ㆍ남산제비꽃ㆍ둥굴레ㆍ맥문동 같은 토박이 풀이 사라져가고 있다.코스모스처럼 생긴 돼지풀도 눈에 많이 띈다. 보다 심각한 문제는 돼지풀이 미세한 먼지같은 꽃가루를 날리기 때문에 사람의 호흡기에 질환을 ... ...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과학동아 l1996년 10호
- 등지의 제3기 식물군의 총칭 극지 마이오세 식물군이라고도 한다바다나리 · 성게 · 해삼 · 불가사리 · 거미불가사리 등이 포함되는 동물 분류상의 한 문(門)해안에서 심해(深海)에 이르기까지 널리 서식하고 있다몸은 방사상칭(放射相稱)이며 대부분은 5 또는 그 배수인 방사상의 체제를 하고 있고 ... ...
- KAIST 송태호교수가 최초로 밝힌 얼음골의 비밀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전국에 여러 곳이 있다. 경남 밀양군의 '얼음골', 전북 진안군의 '풍혈.냉천', 울릉도 나리분지의 속칭 '에어콘굴', 그리고 경북 의성군의 '빙혈.풍혈' 이 바로 그곳이다.그 중 경남 밀양군 천황산 기슭에 있는 얼음골은 천연기념물 2백24호로 지정될 만큼 '더위속의 냉장고' 로 유명하다. 얼음골이 있는 ... ...
- 2. 고생대-중생대 5대 집단 멸종 사건과학동아 l1995년 05호
- 먹이경쟁이 치열해졌기 때문이다.오르도비스기동안 완족류, 이끼동물(bryozoans), 겟나리 산호(rugose coral) 등이 얕은 바다에 번성했다.오르도비스기 말 집단멸종을 거치는 동안 해양 생태계에 큰 변화가 있었다. 코노돈트(conodont), 삼엽충, 이끼동물 및 필석류와 함께 따뜻하고 얕은 바다에서 생물초 ... ...
- 성경 속의 식물이름, 잘못 번역된 것 많다과학동아 l1995년 04호
- 나라에 따라 또는 학자에 따라 지역적인 차이를 파악하지 못한 결과다. 뿐만 아니라 나리꽃이나 상수리나무같이 어느 식물종이라고 단정하기 어려운 것이 있어서 종수에 차가 생기기도 했다.조가 중국에서는 피, 일본에서는 독보리로마태복음 13장24절에는 "하늘나라는 자기 밭에 좋은 씨를 뿌리는 ... ...
- 한국 자생 식물 협회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야생화의 단점은 육종기술을 통해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지적한다. 하늘나리 상사화 같은 일부 자생화는 네덜란드 등에 반출돼 품종개량을 거쳐 역수입되고 있을 정도라고.한국자생식물협회의 활동이 한층 더 활발해지면 개화기간이 길고 색상 등이 다양한 야생화를 보는 것이 꿈만은 ... ...
- "우리 꽃을 우리 땅에"과학동아 l1992년 11호
- 안내표시(백합꽃의 점)도 해준다.자생식물연구회(전화 780-1755)에서는 87년 신종(칠갑나리)도 발견해 학회에 등록, 학명을 획득했으며 멸종돼 가는 큰제비고깔의 군락지역도 발견해 환경연구원에 보호요청을 했다. 90년에는 12명이 백두산 식물생태계를 집중 탐사하기도 했다(5일 동안 백두산에서만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