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조림
캔
d라이브러리
"
깡통
"(으)로 총 7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활동으로 캔샛을 만들고 있다.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의 도움을 받아 2007년 3월 처음 ‘
깡통
’을 손에 잡은 이들은 지난 8월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제어회로에 사용되는 소스 코드를 만들어 칩에 저장하는 작업을 마쳤다. 올 겨울 캔샛 본체까지 모두 만들면 공군의 도움을 얻어 2km 상공의 ... ...
요리를 사랑한 화학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나누면 전지우유와 저지방우유, 탈지우유가 있다. 전지우유에서 수분의 60%를 제거하고
깡통
에 넣으면 연유가 되고 지방함량을 높이면 부드러운 크림으로 변신한다. 흔히 쓰는 휘핑크림은 생크림에 거품이 일게 한 것으로 지방의 비율이 36~40%나 되며 열량은 전지우유의 5배가 넘는다”는 식으로 ... ...
쥐불놀이와 전자운동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무엇일까?
깡통
을 돌리지 않고 그냥 들고 있으면 된다. 하지만 이 경우 그전에 돌고 있던
깡통
의 속도를 알 수 없다. 정리하면 원자 안에서 원운동을 하는 전자의 위치와 속도(다른 표현으로 운동량($p=mv$)을 동시에 100%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 확률 게임1932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 ...
대보름의 불 축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피해를 주는 쥐를 쫓기 위해 놓는 불이기 때문이라고도 해요. 특히, 밤에 아이들이
깡통
에 쥐불을 넣고 줄을 달아 빙빙 돌리며 다닐 때는 불꽃이 아름다운 원을 그리며 장관을 이루지요. 왜 논둑을 태울까요?한때는 쥐불이 한 겨울 동안 마른 풀에 숨어 있는 많은 해충과 그 알을 태워 없앨 뿐만 ... ...
3. 태권V 10대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손가락의 섬세한 움직임은 아직 연구 대상이다. 만화영화처럼
깡통
로봇을 손가락으로 집어올리는 동작은 현재는 불가능하다. 조종사 훈이가 태권V에 직접 타고 있을 필요도 없다. 원격무인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뇌 속에 전극을 심어야 한다면 과연 누가 기꺼이 ... ...
"잠수함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생긴 이산화탄소는 거품을 만들며 물 위로 떠오르려고 해요. 그 이산화탄소의 힘이
깡통
잠수함을 물위로 끌어올려 준 것이랍니다.” 아이디어. 2'실제 잠수함의 원리도 이ㅣ와 같지요'에게게∼! 뭔가거창한것인줄알았더니달랑빈페트병에 고무관을 연결한 것뿐이잖아. 그렇게 간단한 모습으로 ... ...
04. 드라마 속 사랑 과학으로 다시 보기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개에 관한 진실’ 에서 볼품없는 외모지만 매력적인 목소리의 재치있는 에비와,
깡통
소리가 나긴 하지만 늘씬한 금발미인인 노엘 중 누구에게 사랑을 느낄지에 대해 오로지 과학적 잣대만을 들이대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사랑이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언젠가는 과학이 그 실마리를 풀어줄 ... ...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옷과 꽃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원리는 무엇일까?페트병 조각들이 뜨거운 열기에 의해 녹아 액체가 되면 회전하는
깡통
의 작은 구멍을 통해 밖으로 뿜어져 나온다. 그런 후 방사된 플라스틱 액체는 순간적으로 굳어, 가는 섬유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가열을 통해 실을 뽑는 것을‘용융방사’라고 한다. 실제로 나일론이나 ... ...
명품의 명성, 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사용할 수 있었다. 매끈한 케이스는 거울로 사용할 수 있고, 활활 타오르는 불꽃으로
깡통
을 데울 수도 있었다. 그리고 가솔린이 세는 적군의 탱크를 공격하는 하나의 무기였다.지포의 명성은 1932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의 작은 공장에서 조지 블레이스델에 의해 시작됐다. 그는 뚜껑에 경첩을 달아 ... ...
돌아라 돌아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떼면 물이 흘러나오기 시작한다. 이때 물이 나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깡통
이 돈다. 즉
깡통
이 도는 방향과 물이 빠져 나오는 방향은 반대다. 이는 물을 나오게 하는 힘(작용)에 대한 반작용이 작용한 것이다. 여기에서 작용은 물이 한쪽방향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힘이고 반작용은 캔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