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형"(으)로 총 34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호빗은 실제로 있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동굴에서 처음 발견됐는데, 발견 당시부터 실제 존재했던 고인류인지, 소두증 등 기형을 가지고 태어난 현생인류인지 논쟁이 있어왔다. 그런데 이번에 화석이 새로 발견됨으로써 이 종이 고인류의 일종이라는 데 힘이 실렸다. 아담 브룸 박사는 미국 과학매체 ‘피조그(phys.org)’와의 인터뷰에서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1에 불과한 호미닌이었다. 많은 학자들은 그 작은 크기에 경악했고, 일부는 ‘현생인류의 기형 아니냐’는 터무니 없는 주장을 했다(물론 금방 일축됐다).현대 진화생물학의 최고 대가로 꼽히는 스티븐 제이 굴드가 살아있었다면(2002년 타계했다) 펄펄 뛰지 않았을까. “장구한 인류의 진화사에서 ... ...
- [과학뉴스] 우리나라 신생아 5.5%가 기형아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심장결손 진단을 받은 출생아가 크게 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그러나 일부 선천성기형에는 환경오염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학술지 ‘BMC 임신과 출산’ 3월 22일자에 발표됐다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많다는 것과 신경 발달이 억제돼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신경독성학 및 기형학’ 2015년 12월 1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dx.doi.org/10.1016/j.ntt.2015.12.003). 박 교수는 “어류는 고등동물에 비해 인지기능이나 감각이 떨어진다고 보기 때문에 대체 실험동물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다운증후군 뇌기능 저하 메커니즘 최초 규명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구체적인 과정을 밝혀냈다. 다운증후군은 21번 염색체 하나가 추가로 복제돼 신체 기형, 정신 지체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연구팀은 사망한 다운증후군 환자의 뇌 조직에서 전장전사체(발현된 총 RNA)를 추출해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를 일반인의 뇌 발달 과정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다운증후군 ... ...
- 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1만 2000명의 아이들이 기형아로 태어났어요. 4년 반이라는 시간이 지나서야 이 시기에 기형아가 많이 태어난 이유가 이 약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고, 결국 판매가 금지되었답니다.이후 제약사는 개와 고양이, 닭, 햄스터 등을 대상으로 동물실험을 다시 해 봤어요. 하지만 이번에도 동물에게는 ...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단정 지은 것 아니냐는 의문이 1월 28일 학술지 네이처에 실렸다. 라틴아메리카 선천성 기형연구연합(ECLAMC)의 호르헤 로페즈-카멜로와 이에다 마리아 오리올리 연구원은 소두증이 증가한 다른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다. 소두증이 큰 이슈가 되면서 출생결함조사가 강화됐고, 정상과 비정상을 명확히 ... ...
- [재미] 에피소드수학_키가 쑥쑥! 자라는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개 면에서 자라나는 성질을 갖고 있답니다.연구팀이 이런 수학모형을 만든 건 원래 뼈가 기형으로 자라는 이유를 밝히기 위해서였어요. 성장기에 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척추가 굽어지거나(척추측만증), 발이 안쪽으로 꺾여 안짱다리가 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연구팀은 일정한 방향에서 뼈에 힘을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과정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독소 물질을 분비해요. 이 물질을 흡수한 물고기는 기형이 되거나, 심한 경우 죽을 수도 있어요.에너지, 석유와 바이오디젤 만든다지금까지 알아본 것만으로도 플랑크톤을 바다의 지배자라고 부르기에 충분한 것 같아. 그런데 놀라지 마. 플랑크톤이 우리 삶에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게 목적이기 때문. 예컨대, 가까운 친척 간 교배가 계속될 경우 유전적으로 열성인 기형 자손이 태어나는 등 ‘근교퇴화’가 일어날 수 있다. 번식능력이나 질병저항성 등이 떨어지는 것이다. 이런 근교퇴화는 근친결혼이 많았던 여러 고대 왕조의 멸망 원인으로도 꼽힌다.최연호 박사는 “200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