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념비"(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노스웨스턴대 인류학과 에드워드 홀 교수는 공간과 인간행동의 관계를 다룬, 1966년 펴낸 기념비적인 저서 ‘숨겨진 차원(The Hidden Dimension)’에서 타인과의 거리를 4단계로 구분했다. 즉 45cm 이내를 밀접한 거리, 45~120cm를 개인적 거리, 1.2~3.6m를 사회적 거리, 3.6m 이상을 공적인 거리라고 불렀다 ...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참조). 비아그라는 ‘해피 드러그(happy drug)’, 즉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약물의 시대를 연 기념비적인 신약으로 제약사에 기록될 것이다.최근에는 ‘연탄가스’로 불리는 일산화탄소(CO)나 유독가스의 대명사인 황화수소(H2S)도 인체 내에 미량으로 존재하면서 신호전달물질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가 ... ...
- First Synthetic Life Form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자연적 진화가 아닌 인공적 제조를 통해 원하는 생명체를 만드는 가능성을 열어주는 기념비적인 실험이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이 위업은 최고 수준의 과학자 20여명이 10년에 걸쳐 약 4000만 달러(한화 약 500억 원)의 연구비를 사용해 얻은 결과다. 그리고 한 연구자에 의하면 이것은 생물학에서 ...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3.9km의 세계 최장 방조제’, ‘환경파괴의 기념비적인 사례’. 아이러니하게도 두 수사는 모두 새만금 방조제를 두고 하는 말이다. 새만금 방조제를 짓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19년 전인 1991년. 서해안의 동진강과 만경강의 하구를 막아 농경지로 쓸 땅을 간척할 목적이었다. 10년이면 강산도 ... ...
- 타임머신수학동아 l2010년 01호
- 1895년에 발표한 과학소설이다. 과학소설에서 흔히 쓰이는 시간여행이라는 개념이 등장한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웰즈는 독학으로 대학교를 졸업한 뒤 ‘타임머신’을 비롯해 ‘투명 인간’, ‘우주 전쟁’ 등 현재 고전으로 인정받고 있는 과학소설을 써 ‘과학소설의 아버지’로 불린다.유령으로 ... ...
- 논술 준비는 기본개념 정리부터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보고 준비하길 바란다. 올해는 다윈 탄생 200주년이고, 진화론의 시작이라 볼 수 있는 기념비적인 저서 ‘종의 기원’이 출간된 지 150주년이 되는 해이다. 공부에 지친 머리도 식힐 겸 ‘종의 기원’을 한 번쯤 읽어보는 것도 좋은 대비법이 될 것이다. 2010 자연계 논술 이렇게 준비하라 지금까지 ... ...
- 1400년 미륵사 창건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09년 03호
- 우리나라에 들어온 목탑을 석탑 형태로 변용시킨 것으로서 한국 석탑의 시원을 알리는 기념비적인 건축물로 손꼽혀 왔다. 원래는 9층으로 매우 장대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세월을 견디지 못하고 절반 이상 붕괴돼 6층까지 일부만 남아 있던 탑을 일제시대 1915년 일본인들이 콘크리트로 보강해 ...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과학동아 l2009년 02호
- ‘쥬라기 공원’은 사람들이 생명과학의 현재와 미래를 진지하게 생각해보게 한 기념비적인 작품이다.마이클 크라이튼 선생님께안녕하세요. 선생님 같은 초베스트셀러 작가께 편지를 드리게 돼서 영광입니다. 저는 ‘과학동아’라는 월간 과학지의 기자로 일하고 있습니다.저는 1993년 여름 ... ...
- 망원경, 크기를 향한 무한도전과학동아 l2009년 01호
- 망원경, 1948년 미국 팔로마산에 위용을 드러낸 구경 5m 헤일 망원경은 20세기 천문학을 연 기념비적인 망원경들이다. 그 뒤 망원경은 점차 대형화됐고 최근엔 구경 30m급 망원경을 건설하겠다는 계획까지 나왔다. 대형망원경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대기 방해와 반사경 무게를 넘어천체망원경의 성능은 ... ...
-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과학동아 l2009년 01호
- 하늘에서 바라본 지구의 모습을 기록한 프랑스 사진작가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은 1999년 기념비적인 책 ‘하늘에서 본 지구’를 출간해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그런 그가 관심을 우리나라로 돌려 한반도의 모습을 찍겠다고 나섰다. 아쉽게도 북한은 불가능했지만 베르트랑은 지난 5년 동안 10여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