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자모양"(으)로 총 4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티브코딩쌤-마인크래프트 [400호 기념] 마인크래프트 어과동 마을제작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마인크래프트에 어과동 400호 기념 마을이 만들어졌어요! 처음 제가 만들 때만 해도 거대한 환영 인사말과 축하 케이크, 플레이어들을 안내하는 NPC만 있었는데, 연 지 하루 만에 수많은 창작물로 채워져 깜짝 놀랐습니다. 그럼 어과동 마을 제작기를 공개합니다! 어과동 마을, 어떻게 탄생했나? ... ...
- [SF소설] 바키타과학동아 l2021년 11호
- 8/12-001세 개의 배양통을 우주선에 싣는 데 성공했습니다. 두 개는 배터리가 망가져 전원이 꺼졌습니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지구의 상태를 보면 세 개가 멀쩡하다는 것만으로도 기적입니다. 보초병은 없었습니다. 보관실을 관리하는 인력도 마찬가지입니다. 무사했던 이유는, 단순히 도시와 떨어져 ... ...
- 한글꼴 · 로마자꼴을 해부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한글꼴을 해부하다 ❶ 기둥: 홀자(모음)에서 세로로 길게 뻗은 획으로 글자내에서 가장 굵다. 과거 세로쓰기 한글에서는 기둥의 위치에 따라 글자의 가지런함이 결정됐다. 쓰기 방향 변화로 글줄 흐름에 대한 기여도는 줄었지만 시각적 안정감을 잡아주는 중심 역할을 한다.❷ 부리: 획 끝의 돌기 ...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글꼴은 한 시대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시대상이 변하고 인쇄기술이 발달하며 새로운 글꼴이 계속 등장했다. 황제의 위엄이 담긴 웅장한 글꼴, 대량 인쇄에 적합하도록 모든 획이 빠짐없이 두꺼워진 글꼴, 세로에서 가로로 쓰기 방향이 바뀌며 기준선이 변한 글꼴 등 시대의 요구에 따라 제각기 ... ...
- 플라스틱과의 공존을 꿈꾸는 젊은 기업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서동은 리플라 대표 │재활용 공장 사람들이 행복했으면 좋겠다는 꿈 ▲서동은 리플라 대표(왼쪽 7번째)는 고등학교 3학년 때부터 6년째 플라스틱 폐기물의 순도를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 “여길 정말 보여드리고 싶었어요.”8월 5일 오후, 경기 수원 영통구의 연구실에서 서동은 리플라 대표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일상적으로 활용하게 되면서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다루고 저장하는 기술에도 혁신이 일어나고 있다.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와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를 넘어서는 미래 데이터 저장 기술을 살펴봤다. 온라인에서 볼 수 있는 사진과 영상, 문자 등의 데이터는 0과 1 ... ...
- [가상인터뷰] 화성 ‘두더지’, 땅속으로 들어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안녕? 나 과학마녀 일리! 이번엔 지구에서 약 1억 6000만km 떨어진 붉은 행성 화성을 찾아 왔어! 마스 인사이트라는 탐사선이 1년 반 동안 화성에서 있었던 재밌는 소식을 전해왔거든! 무슨 얘기냐고? Q 자기소개를 부탁해.친구들. 반가워! 난 2018년 11월, 화성에 온 탐사선마스 인사이트야. 내 이름 ... ...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11월 15일 오후 1시, 서울 성수동에 있는 긱블 메이커 스페이스에 2020년 ‘MOM(Making of the month)’의 주인공들이 모두 모이는 연말 시상식이 열렸습니다. MOM으로 선정된 메이커들이 각자의 작품을 소개하는 한편, 현장 투표로 올해 최고의 작품인 MOY(Making of the year)까지 선정했습니다. 과연 MOY는 어느 작 . ...
- [매스크래프] 세종대왕과 집현전, 한글이 이토록 수학적인 언어라니!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노랗다’, ‘노르스름하다’, ‘누렇다’, ‘노리끼리하다’. 한글은 노란색이라는 표현을 이렇게나 많은 단어로 나타낼 수 있는 멋진 언어입니다. 여러분과 제가 소통하는 이 순간도! 한글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겠죠? 그래서 오늘은 한글의 소중함을 되새기기 위해 집현전을 지어보겠습 ...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흉골 뒤쪽 나뭇잎 모양의 흉선(thymus)은 수천 년 간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장기로 치부됐다. 흉선은 ‘성난 사마귀’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티모스(thumos)에서 유래한 말로, 이 용어는 혹이나 굳은살 등 인체에서 무가치한 부위를 나타내는 용어로 쓰였다.흉선의 쓰임새가 확인된 건 1961년이 돼서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