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근접"(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예술이 된 우주 / 이달의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0년 후랍니다! 과학동아천문대 SNS와 함께 방구석 우주 여행! 지난 12월 20일, 목성-토성 최근접 온라인 라이브 방송 잘 보셨나요? 과학동아천문대는 여러분들과 더 가까워지기 위해 2021년부터 온라인클래스를 진행해요. 이달의 우주 행사 소개에서부터 천문 강연 등 다채로운 방송으로 천문우주 ...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천왕성, 해왕성이 일렬로 정렬되는 176년만의 기회였다. 보이저는 네 개의 행성을 차례로 근접 비행하며 각 행성의 고리와 자기장, 위성까지 관측했다. 목성의 고리를 발견하고 위성인 유로파의 매끄러운 표면을 포착했으며, 토성 고리의 세밀한 모습을 지구로 보내왔다. 1989년 보이저 2호가 ... ...
- 태양계 비밀 품은 50억km의 비행, 하야부사2의 귀환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캡슐에 고이 담아 다시 지구로 돌아왔다. 돌아오긴 했지만 착륙하진 않았다. 22만km까지 근접해 캡슐을 지구에 던져버리곤 다시 떠나가 버렸다. 두 번째 C형 소행성(1998KY26)을 탐사하기 위해서다. 도착 예정 시기는 2031년 7월이다. 만약 두 번째 소행성까지 무사히 탐사하면 ‘복수의 소천체 주위를 돈 ... ...
- 현존 최고의 자연어처리 인공지능 선발대회과학동아 l2021년 01호
- 13개의 모델이 사람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고, 슈퍼글루 벤치마크에서도 사람에 근접하는 수준의 점수를 받는 모델이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주 교수는 “앞으로 자연어처리 AI의 역할이 더욱 강조될 것”이라며 “궁극적으로는 모델의 강점을 모두 결합한 최적의 모델이 개발돼야 할 것”이라고 ... ...
- 코로나19 3차 유행 백신을 확보하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선두권 달리는 백신 4종 분석 현재 성공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평가받는 백신 후보물질은 4종이다. 영국 제약회사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독일 생명공학사 바이오엔테크, 미국 생명공학사 모더나, 그리고 미국 제약사 ... ...
- [출동!기자단] Canon과 함께하는 초근접 생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지난 11월 25일, 4명의 지구사랑탐사대 우수대원이 서울숲으로 출동했어요. 바로 ‘캐논과 함께하는 생태 사진 찍는 법’ 수업에 참여하기 위해서였죠. 이날 대원들은 작가님께 접사 렌즈를 활용해 여러 각도에서 생태 사진 찍는 법을 배우고, 서울숲 자연을 가까이서 직접 촬영하는 임무를 수행 ... ...
- [통합과학 교과서] 운석 나와라,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지상 30km에서 폭발하며 1000여 명의 사람이 다치는 일이 있었지요. 하지만 NASA 지구근접천체연구센터(CNEOS)는 소행성 ‘2020 QG’의 지름이 1.8~5.5m로 작아서 지구 대기권의 마찰과 열로 모두 녹아버렸을 것으로 예상했어요. NASA에서는 지름이 140m 이상의 소행성을 잠재적으로 위험한 천체로 분류하고 ... ...
- [한페이지 뉴스] 명왕성 산꼭대기 서리는 메탄 99%과학동아 l2020년 11호
- 015년 무인 탐사선 뉴호라이즌스호는 명왕성을 근접 비행하며 눈이 덮인 것처럼 꼭대기가 흰 산맥의 사진을 보내왔다. 사진이 찍힌 곳은 명왕성 적도 부근 크툴루 지역의 산꼭대기로, 고도 1.5km부터 산 정상인 고도 3.5km까지는 ‘서리’가 덮여 있었다. 최근 이 서리의 구체적인 조성과 생성 과정이 ... ...
- [한페이지 뉴스] 소행성 베누가 돌조각을 뿌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NASA)은 2016년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를 보내 2018년 12월부터 베누를 근접 탐사하고 있다. 베누에서 돌조각이 떨어져 나오는 현상은 2019년 1월 처음 관측됐다. 베누는 약 4.3시간마다 자전하는데 베누 시간으로 늦은 오후에서 이른 저녁에만 돌조각이 튀어나오는 모습이 오시리스-렉스의 ... ...
- [융복합 파트너 @ DGIST] 줄기세포로 만든 ‘미니 장기’로, 암 표적 치료법 찾는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조직 세포로만 이뤄졌다면, 정 교수팀은 다양한 세포를 결합해 실제 인체의 장기에 더 근접한 오가노이드를 만들어 낸 것이다.정 교수는 “혈관내피세포, 혈액세포 등을 붙여 폐포의 모세혈관이 폐 오가노이드를 감싸고, 다양한 연체조직까지 포함시켜 실제 폐 같은 정교한 오가노이드를 개발하는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