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레이저를 비추면 홈에 따라 레이저가 반사되거나 산란되며, 반사된 빛의 양으로 0과 1을 구분할 수 있다.CD는 20세기 후반 널리 쓰인 저장 매체로 수많은 프로그램, 음악, 영화가 CD로 출시됐다. CD의 뒤를 이어 DVD, Blu-Ray 등 발전된 광학 매체가 등장했다. < 자기장 > 정보 밀도: 3.10×109bits/mm3 컴퓨터 ... ...
- 새로운 로봇 등장 New bot in town!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발, 사람의 발과 닮았다옵티머스 젠2의 발은 사람의 발처럼 발바닥과 발가락 부분이 구분돼 있다. 지면이 발에 가하는 힘과 발에 있는 모터의 돌림힘을 감지해 지면의 형태를 파악한다. 자유도(DOF勫egrees of Freedom)물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독립된 변수의 수. 3차원 공간에서 ‘자유롭게 ... ...
- 형태만큼 다양한 쓸모 , 로봇 트렌드 톺아보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상호작용 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공장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던 기존 산업 로봇은 인간과 구분된 공간에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는 반면, 협동로봇은 인간과 같은 공간에서 함께 일한다는 차이도 있다. ‘로봇 바리스타가 커피를 내려주는 카페’나 ‘치킨을 튀겨주는 로봇’ 등 최근 들어 생활 ...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와 관련된 사례를 쉽게 볼 수 있다. 인간과 똑같은 안드로이드는 로봇을 인간과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러 법적윤리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누구나 로봇의 외형 또는 목소리를 통해 로봇임을 알아차릴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다수의 동일한 로봇이 있는 장소에서 사건사고가 발생할 시 ... ...
- 멋진 증명을 가리키는 말, 신의 증명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증명이 나오기도 해요. 그 대표적인 예가 평면 지도에 있는 모든 나라는 5가지 색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5색 정리’예요. 즉 이웃한 나라는 다른 색으로 칠해야 하죠. 이 문제는 1890년에 증명이 됐어요. 이후 다른 증명도 몇 가지 더 발견됐는데 신의 증명이라고 사람들이 인정하진 않았어요. 첫 ... ...
- AI, 예보에 도전장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유실, 침수돼요. 저희는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재해 위험등급 지역을 구분해 AI에 학습시킬 예정이에요. 예보관들이 AI가 제공하는 맞춤 정보를 지방자치단체, 경찰청, 소방청에 제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국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돕는 게 목표죠. 현재 개발하는 AI들은 올해 ... ...
- [사고력 두뇌 퍼즐] 클래식 스도쿠 /심플루프/신호등 암호/전개도 찾기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힘을 튼튼하게 길러 보세요! [클래식 스도쿠] 굵은 선으로 구분한 공간에 1부터 6까지의 숫자를 적어요.굵은 선 안쪽 공간과 가로줄, 세로줄에 같은 숫자가 겹치면 안 돼요. [심플루프] 흰색 칸이 모두 이어지도록 검은색 칸을 피해서 선을 그어요.선은 반드시 흰색 칸 ... ...
- 수학자는 동물을 사랑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마리의 새끼 오리를 각각 A, B, 한 마리의 새끼 백조를 C라고 하자. 어떤 기준에 따라 셋을 구분하는 방법은 23개, 총 8가지다. 어떤 기준에 맞으면 1, 아니면 0이라고 이진법을 이용해 표현하면 아래 표처럼 8가지 경우가 나온다. 두 개체가 가진 공통점으로 종을 판단한댔으니, 두 개체씩 묶어보자. ... ...
- [포토뉴스] 불가사리는 사실 팔이 없다 머리만 있을 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불가사리가 속한 극피동물 일부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좌우대칭을 이루고 머리와 몸이 구분되는 척추동물과는 전혀 다른 몸 구조다. 그렇다면 불가사리의 머리는 어디일까. 유전자 분석을 통해 불가사리는 사실 대부분 머리로만 이뤄져 있다는 연구 결과가 2023년 11월 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 ...
- [헷갈린 과학] 하나는 양서류? 하나는 파충류? 도룡뇽 vs 도마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필요해 환경 오염에 특히 취약한 동물로 꼽힌답니다. 도롱뇽과 도마뱀을 한눈에 구분하려면 피부와 주둥이, 발가락 개수를 유심히 보세요. 도롱뇽은 주둥이가 둥글고, 피부는 축축하고 매끈해요. 또 도롱뇽의 발가락 개수는 다리에 따라 달라요. 앞쪽 두 다리의 발가락은 4개, 뒤쪽 두 다리의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