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족
불충분
궁핍
모자람
가난
빈곤
결여
d라이브러리
"
결핍
"(으)로 총 443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는 사람도 있다.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에 감염돼 후천성면역
결핍
증(AIDS·에이즈)을 앓거나 명확한 이유 없이 급성 백혈병이 생기기도 한다. 면역시스템이 오작동을 일으키면 내 몸의 것을 남의 것으로 인식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고통받을 수도 있다. 어떤 원인으로 ... ...
1981년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시작했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의학계에서는 원숭이에서 발견되는 원숭이면역
결핍
바이러스(SIV)에서 HIV가 유래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 출현 시기를 1930년대로 보고 있다. 1900년대에는 치료법이 밝혀지지 않고 높은 치사율을 보였기 때문에 한때는 ‘20세기 흑사병’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 ...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있다.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가 속한 레트로 바이러스가 대표적이다. 후천성면역
결핍
증후군(AIDS·에이즈)을 유발하는 HIV는 단일가닥의 RNA지만 바로 단백질을 만들어내지 않고 본인이 가진 역전사효소(reverse-transcriptase)를 이용해 먼저 이중가닥의 DNA를 만든다. 그리고 이런 이중가닥 DNA를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성공한 감염병은 단 두 개.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로 인해 발병하는 후천성면역
결핍
증후군(AIDS·에이즈)과 신종 인플루엔자바이러스로 인한 신종플루뿐이다. 항바이러스제 개발이 이토록 어려운 이유는 바이러스의 특징 때문이다. 바이러스는 지속적으로 돌연변이를 일으켜 애써 개발한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증상이 나타나면 이미 바이러스 전파가 시작된 이후다.또 광견병바이러스나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처럼 전파가 몹시 느린 바이러스도 있다.광견병바이러스는 발병하면 치사율이 100%에 이르고 대부분 포유류에서 병원성을 나타내는 무시무시한 바이러스이지만, 감염된 뒤 짧으면 3~9주, 길면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자가면역질환이 생길 수 있다. 후천성면역
결핍
증(AIDS·에이즈)을 일으키는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는 수지상세포의 여러 수용체와 결합해 인체를 감염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현재는 단핵구가 수지상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하는 등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단핵구는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때론 음모론에 휘말리기도 한다.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가 유발하는 후천성면역
결핍
증 (AIDS·에이즈) 백신이 대표적인 예다. 1981년 미국에서 에이즈 환자가 학계에 처음 보고된 이후, 세계적으로 에이즈로 인한 사망자는 현재까지 약 3790만 명에 이른다. 최근 50년간 창궐한 바이러스성 감염병 중 ... ...
페임랩 도전기 “내년엔 ‘노잼’은 없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뒤 ‘단백질가위’로 잘게 쪼개 사용합니다.칼레트라는 에이즈를 유발하는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의 단백질가위를 무력화시키는 물질입니다. 이것이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에도 작용할 수 있습니다. 모양은 조금 다를 수 있지만 결국엔 단백질가위니까요 ... ...
코로나19의 창, 치료제...항바이러스제가 끌고 항체치료제가 쫓고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로피나비르(lopinavir)와 리토나비르(ritonavir)를 주성분으로 하는 칼레트라는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의 증식에 필요한 단백질분해효소를 억제한다.차오빈 중국 국립임상연구센터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칼레트라를 이용해 1월 18일~2월 3일 코로나19 치료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 ...
[기초과학의 힘] 복제 스트레스 높여 암세포 먼저 죽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암세포가 계속 증식할 때는 세포 분열 속도와 정도를 조절하는 단백질이 고장 나거나
결핍
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24시간 내내 쉬지 않고 세포 분열이 일어난다. 복제 과정에 문제가 생겨 ‘불량세포’가 만들어졌는데도 복제를 중단하지 않고 불량세포를 계속 찍어내는 것이다. 세포의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