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짜
무보수
허위
속임수
거짓
허사
위언
d라이브러리
"
헛수고
"(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포도껍질로 물들이기
과학동아
l
199404
예쁘게 물든 것 같지만 물로 빨아보면 군데군데 색이 다시 빠지고 얼룩이 져서 염색한 게
헛수고
가 되고 말지요. 물든 옷을 명반 녹인 물에 담그는 걸 잊지 말아야 애써 염색한 예쁜색이 빠지지 않지요. 이것을 매염이라 하는데, 이 때 명반은 매염제가 되는 거지요. 봉숭아꽃을 물들일 때 사용하던 ... ...
700년 잠깬 레바논의 미라들
과학동아
l
199312
라고 말했다.벌써 몇시간째 이들은 땅을 덮은 먼지처럼 가벼운 모래층을 조시했으나
헛수고
였다. 그들의 헬맷에 붙은 램프는 좁은 공간만을 비춰주었다. 추위가 뼛속 깊이까지 스며들었다. 밤 11시가 되어서야 이들은 포기하기로 결정했다.파디는 불을 피우기 위해 삽을 들어 구덩이를 파기 ... ...
'지워진 데이터' 되살리려면
과학동아
l
199305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작업하고 있는 내용을 파일로 저장해두지 않는다면 기존의 작업은
헛수고
가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어떤 프로그램들은 '자동저장'이라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에서는 '선택사항' 메뉴에 자동저장간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 두고 있다.자동저장을 ... ...
(2) 바이러스와 백신의 영원한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111
브레인바이러스를 개발한 파키스탄인 앰자드는 자신이 만든 소프트웨어가 불법복제로
헛수고
가 되자 유명 소프트웨어를 복제해가는 외국인들에게 바이러스를 하나씩 끼워주었다고 한다.미국에서는 경쟁사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파괴하는 바이러스를 만들어 퍼뜨리는 경우도 더러 발생한다.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12
기껏 연구해서 개발해 놓았는데, 이미 다른 나라에서 특허를 받아놓은 것이라면 완전히
헛수고
가 되고 만다. 그때의 허탈함은 당해보지 않은 사람은 모를 거라고 한 '희생자'는 들려준다.실제로 우리의 여건상 완전한 신물질을 창출하기란 요원한 일이다. 외국에서는 한국이 2000년대까지는 신약 ... ...
새로운 교통체계 오반 시스템 실용화
과학동아
l
199006
있던 사람들을 감동시킬 정도였다. 시험 운전자는 일부러 탈선을 시도하기까지 했으나
헛수고
였고 타이어 펑크실험도 통과했다. 오반버스는 타이어가 펑크나자 타이어안에 든 알루미늄바퀴가 버스를 지탱하여 운전사는 낮은 속력으로 운전을 계속할 수 있었다.선로밖에 나서면 오반버스는 여느 ... ...
주변기기 선택요령② 보조기억장치를 추가하려면
과학동아
l
198911
부실하기 쉽다.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잘 보관해 두지 않으면 애써 작업한 것이
헛수고
가 되기 십상이다.최근 교육용 PC가 16비트로 결정남에 따라 30만원에서 60만원 내외의 저가PC들이 많이 선보이고 있다.이들 저가 PC의 대부분은 인텔사의 8088계열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클럭속도가 10㎒ ... ...
과거보다 10배나 선명한 금성사진 찍을듯
과학동아
l
198908
촬영하고 대기를 조사했다. 이제까지의 노력은 별성과 없어그러나 이제까지의 노력이
헛수고
에 불과한 것은 아니었더라도 기대한 만큼의 성과는 거두지 못했다고 평가되고 있다.이것은 금성의 대기가 항상 짙은 구름에 둘러 싸여있어 사진촬영의 효과가 신통치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봄 ... ...
전국 순환 초고속전철 제안한 김영구씨
과학동아
l
198905
않느냐는 얘기. 비록 그 결과 경부전철로 귀결되고 환상형이 차후로 미루어진다하더라도
헛수고
가 아니라는 주장이다.-제안서만 던져놓고 '나몰라라'할 수는 없지 않읍니까.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하실 생각입니까."책임을 져야겠지요. 우선 이 계획을 검토하고 추진할 수 있는 주체를 구성하는 일이 ... ...
공전주기 800년 10번째의 행성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02
가진것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태양계의 10번째 행성 발견의 노력은 이처럼 언제나
헛수고
로 끝났는데 이번에는 어떻게 될 것일까. 언제 어디서 태어났는가? 이분야의 이론적으로 대표적인 견해부터 살펴보자. 현재의 태양계와 행성의 기원론으로 볼때는 지구질량의 몇배나 되는 미지의 행성이 ... ...
이전
1
2
3
4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