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대
군대
해군
d라이브러리
"
함대
"(으)로 총 51건 검색되었습니다.
SF예언력은 어느 정도?
과학동아
l
199711
케네디 대통령이 암살당하지 않는다. 중세 유럽에서 스페인의 무적
함대
가 영국을 정복했다거나 마술이 사회적으로 공인된다는 설정은 꽤 자주 등장한다.캠프(L.S. Camp)의 단편 ‘둥근 눈의 야만인’(1992)에선 중국인과 콜럼버스가 거의 동시에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고, 해리슨(H. Harrison)의 장편 ... ...
1. 역사속의 암호
과학동아
l
199706
5일 야마모토 사령관이 이끈 막강한 일본
함대
는 미드웨이 해상에서 미리 기다리던 미국
함대
에 의해 완전히 괴멸했다. 당시 일본군이 사용하던 암호작성기 역시 에니그마였다. 독일군이 주로 사용한 암호문에 비해 난수(亂數)가 복잡하게 조합돼 있다는 점이 달랐다. 즉 에니그마로 암호화된 글자를 ... ...
태양 파수꾼, 소호위성
과학동아
l
199602
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다. 다음 프로젝트는 클러스터(Cluster). 이것은 4대로 이뤄진 '위성
함대
' 로 태양이 지구와 그 주변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임무를 맡는다. 96년 4월 말 클러스터는 아리안 5호에 의해 발사될 예정이다. 우주환경 예보에 꼭 필요태양은 평범한 별 중의 하나다. ... ...
현대전의 승패 판가름내는 전자전
과학동아
l
199310
채프뿐만 아니라 기구에 레이더반사기를 실어 독일군측 해안레이더에 대규모의
함대
와 같은 큰 목표물이 전시되도록 했다. 아울러 연합군측의 기만송신 허위문서유출 등의 기만작전으로 독일군은 병력을 허위목표물이 나타난 지역으로 집중시켰고 연합군은 이를 이용, 방어력이 약화된 노르망디에 ... ...
군함
과학동아
l
199309
경우 속도가 빠르고 핵탄두를 장착한
함대
지 미사일을 보유한 잠수함도 있다 이들 전략
함대
지 미사일을 장착한 잠수함은 원자력추진 핵잠수함이라고 불리며 은밀하게 위치를 수시로 이동하거나 적국에 근접해 공격할 수 있기 때문에 위협이 큰 전략적 병기로 인식돼 왔을 뿐만 아니라, 과거 소련의 ... ...
엑슨 발데즈 원유유출사건 그 후
과학동아
l
199203
배를 정지시키려면 4.8㎞나 미끄러져야만 했다. 이 배의 선장은 조셉 하젤우드. 그는 엑슨
함대
의 가장 우수한 선장 중의 한 사람이었다.발데즈 호가 터미널을 떠난 지 한 시간 후, 가장 위험한 해역인 발데즈 해협을 통과하고 있었다. 엑슨 발데즈가 항구를 빠져나가서 안전한 외해로 항해할 때까지는 ... ...
암호 만드는 기계, 암호 푸는 기계
과학동아
l
199201
장군이 이끄는 일본 최강의 연합
함대
는 미드웨이 해상에서 숨죽이며 기다리던 미국
함대
에 의해 완전히 괴멸하고 말았다.암호해독술과 재치가 안겨다준 승리였다. 당시 일본이 사용한 D암호는 자신들이 최강의 암호라고 믿었음에도 불구하고 90% 이상이 미국에 의해 해독됐다. 일본은 독려차 떠난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08
걸쳐 이루어졌지만 아직도 인양에 대한 실마리를 풀지 못하고 있다. 이순신 장군이
함대
지휘를 하지 못했던 시기에 여러 거북선이 침몰했으므로 패전 해역을 중심으로 고성 충무 거제도 여수 인근의 옛 격전지를 조사했으나 대상해역이 매우 넓어 탐색에 어려움이 많았다. 성공적인 인양이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03
보냄으로써 사우디의 식수원인 담수화공장의 가동을 방해하고 해상의 다국적군 전투
함대
를 무력화시키자는 의도였을 것으로 풀이된다.그러나 정작 석유가 위협한 것은 다국적군 이전에 이 지역을 보금자리로 살고있던 수많은 해양생물이었다. '불모'의 사막이라는 주변지역 이미지와는 달리 ... ...
「X선 레이저 빔」 기술적 난관에 부딪쳐
과학동아
l
199004
10만개의 방사선 빔을 조사할 수 있다. X선 레이저 단 한발이면 순식간에 소련 미사일
함대
를 산산조각 낼 수 있지만, 폭발의 위력이 너무 엄청나서 심지어 X선 레이저 자체도 화염속에서 파괴될 정도다.그러나 아직 구체적인 실현단계에 이르지 못한 X선 레이저 연구는 기술적 재정적 문제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