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220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이번엔 윈도우10? 랜섬웨어 재습격 예고
과학동아
l
201706
이용하지 않는다면 기존 백신으론 탐지가 안 될 수도 있습니다. 백신의 근본적인
한계
인데요. 새로운 바이러스가 발견되면 이것을 막는 목적으로 개발돼 왔기 때문에 예방주사라기보다는 치료제에 가깝습니다. 사실 윈도우 자체에 보안패치가 잘 깔려 있다면 백신까지 갈 일도 별로 없습니다. ... ...
비법 대공개! 대통령 메이커의 선거 필승 전략
수학동아
l
201705
지금은 수없이 많은 뉴스가 인터넷으로 퍼져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거짓을 걸러내기엔
한계
가 있어요. 그래서 과학자와 수학자들이 컴퓨터가 자동으로 진짜와 가짜를 알아볼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내고 있습니다.‘생각 조종자들’의 저자 엘리 프레이저가 만든 구글 문서 ‘미디어 리디자인’은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
과학동아
l
201705
① 대기권 바깥까지 솟구쳤다 내려오는 VR 아스트로 로켓코스터아스트로월드의
한계
는 어디까지일까요? 저 하늘에 있 는 구름을 넘어 대기권을 지나 우주공간까지랍니다! 이 미 2010년대부터 가상현실을 이용해 우주를 달리는 코 스터가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을 탄 사람들은 어지 럼증과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
과학동아
l
201705
비슷했다. 성급한 문명화를 거친 시대착오적 과거였다. 역사를 갖고 노는 재미에도
한계
가 있었다. 빨리 적응하고 문명의 안락함을 구현하는 게 먼저였다. 전기와 상하수도, 전차와 비행기, 인터넷과 휴대전화에게 영광이 있으라.휴대전화가 울렸다. 미나는 전화를 받았다. 받자마자 “미나!”를 ... ...
[과학뉴스] 활짝 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장미
과학동아
l
201705
있었다. 하지만 단백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고온처리를 해야만 DNA가 효과적으로 모인다는
한계
점이 있었다.연구팀은 상온에서 DNA 복합체를 만드는 방법을 찾아내 이 문제를 해결했다. 핵산과 구리 이온을 상온에서 오래 두면 상호작용하면서 꽃 모양의 입자로 뭉쳐진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 ... ...
[과학뉴스] 거미집 모방해 바이오센서 능력 UP!
과학동아
l
201705
나노소재로 분해능을 높여왔지만, 분자의 확산 속도가 느려 센서의 성능을 높이는 데
한계
가 있었다.김철기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팀은 단백질과 DNA 등 바이오 분자에 나노 크기의 초상자성 입자를 부착했다. 초상자성입자는 주변에 자기장이 있을 때만 자석으로 변하는 입자다. 또 거미줄 ...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
과학동아
l
201705
때문이다.DNA의 주름살 잰다?이처럼 통계적으로 기대수명을 예측하는 데에는 근본적인
한계
가 있다. 이를 대신해 생물학적 정보로 수명을 예측하는 방법이 많은 연구자들 사이에 화제가 되고 있다.2013년 10월 ‘게놈 바이올로지’에 놀라운 연구 논문이 발표됐다. 사람의 유전자가 나이를 ... ...
[과학뉴스] 혈액에서 오래 살아남는 줄기세포 개발
과학동아
l
201705
홍 교수는 “나노박막 기술을 사용해 세포 안정성을 높여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가 가진
한계
를 극복했다”면서 “나노박막은 어느 줄기세포에나 적용이 가능하므로 면역질환, 뇌졸중 등의 줄기세포 치료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
과학동아
l
201705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식물엔 콜라겐, 엘라스틴 없는데 제대로 기능할까
한계
도 있다. 최근에는 장기마다 세포외기질의 구성과 역할이 다르고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보고 있다. 예컨대 피부에서 뽑아낸 세포외기질은 엘라스틴 성분이 많아 유독 쫀쫀하다. 세포가 특정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
과학동아
l
201705
). 텔로미어 가설은 헤이플릭
한계
를 설명하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더구나 헤이플릭
한계
가 없어 문제인 암세포에도 텔로머레이스가 있다는 사실은 이 가설의 신뢰도를 매우 높였다.텔로미어 가설은 오랜 시간 정설처럼 받아들여졌다(실제 많은 대학들이 ‘일반생물학’ 서적으로 선택하는 ‘캠벨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