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첫째"(으)로 총 1,289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07
- 것을 볼 수 있다. 간편하긴 하지만 임시방편일 뿐, 오히려 더 큰 문제를 불러올 수 있다. 첫째는 비가 올 때 배수가 안 돼 도시가 침수될 수 있고, 두 번째는 지하에 갇힌 황화수소가 수분과 만나 황산으로 변하면서 하수도관을 이루는 시멘트를 부식시킬 수 있다.하수도 악취를 제거하는 가장 확실한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06
- 사람 몸이 만드는 폐수, 오줌에 주목하다그가 만든 발명품은 세 가지 면에서 놀랍다. 첫째, 특이한 액체를 써서 공짜로 전기를 만들 수 있다. 콩기름? 혹시 물? 아니다. 우리 몸이 매일 만들지만 대부분 그냥 버리는 액체. 바로 오줌이다. 둘째, 그의 발명품에는 오줌뿐만 아니라 미생물도 들었다.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06
- 또는 감소시키느냐에 따라 해밀턴은 사회적 행동을 네 가지로 분류했다(다음 페이지 표). 첫째, 당사자의 적합도와 상대방의 적합도를 모두 높이는(+/+) 행동은 ‘상리적(mutually beneficial)’인 행동이다. 예를 들어 침팬지는 여럿이 힘을 합쳐 먹이를 사냥한 다음에 획득한 음식을 나눠 먹는다. 둘째,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06
- 파장이 긴 전자기파가 이어진다.감마선 폭발을 일으킬 것으로 보이는 후보는 두 가지다. 첫째는 핵붕괴형 초신성 폭발로, 빠르게 자전하는 무거운 별이 자체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짜부라지면서 중심부에 중성자별(또는 블랙홀)을 만드는 경우다. 둘째는 중성자별 쌍성 또는 중성자별과 블랙홀이 ...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06
- 소스 코드를 완전히 공개한 ‘공개 운영체제’다. 누구나 소스 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첫째 줄의 코드는 원래 (current->uid == 0) 이었지만, 누군가 (current ->uid = 0)으로 수정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과 ‘==’은 하늘과 땅 차이다. ‘a==0’은 a가 0일 때를 확인하는 것이지만(등가 여부 확인), ‘a=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과학동아 l201605
- 지내는 시간이 일상의 전부가 됐다.아이에게 손을 댄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첫째 아이도 때린 적이 있었다. 그때도 분을 못 이겨 아이를 때리다가 정신을 차리고 스스로 깜짝 놀랐다고 했다. 남들이 보면 자신이 아이를 학대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싶었다는 것이다.당시 그는 아이를 때린 ... ...
- [Tech & Fun] 의자 없앤 사무실 잘못하면 건강 망친다과학동아 l201603
- 높이의 접이식 테이블을 구입해 책상 위에 놓고 본격적으로 서서 일하기 시작했다.첫째 날. 앉아서 일하는 사람들 사이에 혼자 일어서 있자니 좀 민망했다. 게다가 서서 일하는 게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우선 발바닥과 다리가 아팠다. 물론 하루 종일 서 있었던 것은 아니다.중간에 적절히 쉬어가며 ...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과학동아 l201602
- 작품 ‘사과(위)’와 ‘딸기’. 같은 개수씩 줄 맞춰늘어놓은 듯 보이지만 첫째 줄과 마지막 줄에 있는 사과는 다른 줄보다 하나씩 더 많은15개씩이다. 또 딸기는 줄기가 꼬부라져서 노인의 지팡이를 연상시킨다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01
- 의한 진화다. 자연 선택은 세 가지 조건만 충족되면 언제 어디서나 반드시 일어난다. 첫째, 변이다. 한 종에 속한 개체들은 저마다 조금씩 다르다. 나는 내 가족들, 내 이웃들, 다른 나라 사람들과 키, 성격, 지능, 다리 길이 등에서 다르다. 둘째, 유전이다. 변이 가운데 어떤 것들은 부모에서 자식으로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11
- 리뷰 오브 이뮤놀로지’에 발표한 논문➌(goo.gl/7MrU5O)에서 관용을 네 가지로 구분했다. 첫째는 무시와 침묵이다. 면역계가 장내 미생물을 공격하지 않는 사례, 뇌․눈․생식세포에서 염증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사례가 여기 포함된다. 둘째는 병원균이 내뿜는 독성이나 숙주의 면역물질이 세포를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