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료"(으)로 총 18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절대공간은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503
- 오늘의 이야기 주제는 ‘공간’이다. 뉴턴 이전에는 모든 변화를 ‘운동’이라고 여겼다. 하지만 뉴턴은 단지 ‘물체의 위치 이동’만이 운동이라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자 ... 편에 전개 될 비유클리드 기하학 이야기는 이 문제를 상세하게 다룰 것이다. * 이벤트는 종료되었습니다 ... ...
- [Knowledge] 뉴턴이여, 나를 용서하시길!과학동아 l201502
- 1955년 4월, 저명한 과학사학자 I. 버나드 코엔이 아인슈타인을 찾아가 인터뷰를 했다. 그로부터 2주 뒤 아인슈타인이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그 인터뷰는 아인슈타인의 생각을 ... 과학문화에 기여한 것은 무엇이었는지 살펴보려 한다. 독자들이여, 기대하시길! 이벤트는 종료되었습니다 ... ...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02
- 수명연장 심사 중)를 비롯해 가동 25년을 넘긴 원전만 9기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원전 종료를 주장해온 탈핵 진영은 말할 것도 없고, 원전해체를 오랫동안 터부시해 온 친핵 진영에서도 해체 이야기가 슬며시 흘러나오고 있다. 게다가 국제원자력기구(IAEA)에서 이 분야의 시장 가치가 2050년까지 1000조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11
- 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는 원전 가동국들의 가장 큰 골칫덩이다. 아직 핵분열이 완전히 종료되지 않아 ‘잔열’이라 불리는 고열이 발생하고, 높은 수준의 방사선이 나오기 때문에 함부로 처치하기 곤란하다. 현재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원전 바로 옆에 수조를 마련해 놓고 핵연료봉을 담가 식히는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11
- 인간프로테옴프로젝트(C-HPP)’가 공식 출범했다. 이 프로젝트는 10년 뒤인 2022년 9월 9일에 종료될 예정이다. 현재 상염색체 22개와 성염색체인 X, Y 그리고 미토콘드리아를 분석하는 그룹까지 총 22개국 25개 그룹이 참여하고 있다.문제는 단백질을 만드는 인간 유전자는 2만300개인데, 유전자 하나가 약 1 ...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11
- 레벨이 올라 똥이 내려오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체력지수가 바닥이 나면 ‘Game Over’라는 종료 메시지가 뜹니다.나에게 맞는 소프트웨어 수업 & 역량 찾기 자료 제공 삼성전자 사회봉사단소프트웨어 교육은 크게 네 가지 역량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가장 첫 번째는 창의력이다. 가장 기초 ...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수학동아 l201409
- 6시 14분부터 부분월식이, 7시 24분에 개기월식이 시작된다. 10시 35분에 반영식까지 모두 종료되기 때문에 맨눈으로 월식의 전 과정을 관측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는 다음 개기월식은 2018년 1월 31일, 7월 27일, 그리고 2019년 1월 27일이다. 2014년, 더욱 특별한 달“한 인간에게는 작은 ... ...
- 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모인다과학동아 l201408
- 블로그나 SNS 등 온라인 상에 세계수학자대회를 알리는 활동을 하는 것이 미션으로, 대회 종료 후 열심히 홍보한 50명을 뽑아 세계수학자대회 조직위원회에서 홍보대사 인증서를 수여한다. 이번 여름방학, 세계수학자대회로 특별한 경험을 쌓고 싶다면 지금 바로 도전해 보자!참여 방법(다양한 활동을 ... ...
- 아이손, ‘혜성’처럼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22
- 이번 가을에 서울의 중심에서 함께 별을 외쳐 보시지 않으시렵니까? *이벤트는 종료되었습니다.개관일 11월 25일 | 장소 과학동아천문대 | 찾아오시는 길 서울 용산구 청파로 109 나진전자월드 7층홈페이지 minicamp.itamtam.co.kr/star | 문의 천문대 담당자 (02)-3148-0784참가비 11월27일 ~ 12월 26일 (한 ...
- 우주에 울려 퍼지는 레이더 아리랑어린이과학동아 l201318
- 999년 발사한 우리나라 최초의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1호는 2008년 2월 공식적으로 임무를 종료했어요. 하지만 아리랑 2호와 3호는 지금도 지구를 돌면서 고해상도 카메라와 센서로 지상을 살피고 사진을 찍고 있답니다. 특히 아리랑 3호는 순수 우리기술로 만든 첫 번째 위성인데다 1m보다 작은 지상의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