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공학"(으)로 총 1,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01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에서는 개교 70주년을 맞아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7대 미래기술’을 선정했다. 각 분야의 동문들과 재학생들이 투표한 결과다. 영화에서나 나올 것 같은 이야기지만 가까운 미래에 상상했던 수준 이상으로 발전하게 될 전망이다. 각 기술의 최 ... ...
- [과학뉴스] 빅데이터로 감영병 진단 빨라진다과학동아 l201701
- 어떤 사람이 바이러스에 감염됐는지 진단하려면 지금까지는 시간이 많이 걸렸다. 그런데 국내 과학자들이 감염병 진단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해, 초기 발견까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됐다.구재형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와 김민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 연구팀은 빅데이터기술 ... ...
- Part 2. 세계 곳곳 나무 고층 건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17
- 이제 나무 고층 건물이 대세!2010년 이후, 전세계 많은 건축가들은 나무로 건물을 짓는 데 관심을 가졌어요. 특히 도시에 나무 건물을 짓겠다는 건축가들이 많았지요. 도시에 비슷한 콘크리트 건물을 또 짓기보다는 친환경 건축 재료인 나무로 새로운 건물을 짓기로 한거예요.나무 건물이라고 해서 ... ...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과학동아 l201612
- ‘나노물질’ 전성시대다.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 양자점(퀀텀닷) 등의 나노 물질을 이용해 전자기기를 만들거나 질병을 진단, 치료하려는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다. 하지만 이들 재료가 인체에 무해한지 확인하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인수일 DGIST 에너지시스템공학 전공 교수와 김은주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팀이 거의 완벽하게 밝힌 ‘한국인 표준 유전체’과학동아 l201611
- 최근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서정선 교수와 국내 생명공학 벤처기업 마크로젠 공동연구팀은 독자적인 기술을 이용해 한국인의 유전체를 거의 완벽하게 해독해 냈다.유전체란 세포에 들어 있는 모든 유전 정보다. 생김새와 체질, 재능,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 등 생존하는 데 영향을 미치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11
- 최근 생명과학계에 ‘작은 RNA’ 바람이 거세다.고작 20개 안팎에 불과한 염기서열이 암세포를 저격하고, 해로운 농약 없이도 해충으로부터 농작물을보호할 수 있단다. 염기서열 20개가 무슨 일을 하기에 이처럼 놀라운 위력을 발휘하는 걸까.1993년. 당시 하버드대 소속(현재는 매사추세츠 의대) 빅터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10
- 과학이라는 생태계를 숲에 비유하면, 연구비는 숲을 풍요롭게 가꾸는 양분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은 세계 6대 과학기술 연구개발(R&D) 투자국이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장 많은 연구비(4.29%)를 지원하고 있다. 머지않은 미래에 노벨상 수상을 기대하는 이유도 이처럼 과감한 투자에 있다. 하지만 과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10
- 5년 전 어느 봄날이었다. 김민수 DGIST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는 편안한 마음으로 학교에서 매주 개최하는 융합세미나에 참석했다. 다른 전공 교수가 자신의 연구를 소개하는 세미나여서 부담 없는 시간이었다(게다가 점심까지 해결할 수 있었다!). 이날 주제는 ‘후각수용체와 그 활용’. 구재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10
- 적이 살의를 품고 있다는 건 총탄의 궤적으로 확실히 구분할 수 있었다. 탄환들은 방금 전까지 윤환의 머리가 머무르던 곳을 관통했다. 윤환은 벽 뒤에 몸을 숨기고 총의 배터리와 잔탄 수를 확인하면서 한숨을 쉬었다. 수동으로 명중률을 높이려면 반드시 호흡을 조절해야 했다. 그는 그 사실을 ...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09
- 못하다. 심 교수는 “더 나은 미세조류를 계속 탐색하고, 동시에 무기물과 결합시키거나 유전공학을 이용해 슈퍼균주를 만들어 낼 예정”이라고 말했다.최고 속도 인공광합성, 꿈의 촉매를 찾아인공광합성은 최근 과학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분야 중 하나다. 올해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이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