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릇
습관
관습
관례
적성
재능
소질
d라이브러리
"
습성
"(으)로 총 31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4
단체로 이동할 때 자신들의 대장을 맨 앞에 세우고 나머지가 그 뒤를 따라가는
습성
을 가지고 있어요. 그동안 새들의 단체 행동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지금까지 어떤 새를 대장으로 세우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요.영국 옥스포드대학교 도라 비로 교수팀은 40마리의 ... ...
[과학뉴스] 히말라야에는 재채기하는 원숭이가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1
이 원숭이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비가 오는 날엔 무릎 사이에 얼굴을 박고 있는
습성
을 가지게 되었다고 해요.리빙 히말라야 2015년 보고서에는 이외에도 푸른 색의 눈을 가진 작은 개구리와 드라큘라처럼 송곳니를 가진 물고기 등 최근 6년간 히말라야에서 발견된 신기한 모습의 동식물이 실려 ... ...
고릴라 VS 오랑우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4
잘 발달해 있고 후각보다 시각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에요. 또 몸통을 똑바로 세우려는
습성
이 있어서 두 발로 걸을 수 있지요.한편 유인원은 영장류 가운데 꼬리가 없는 24종의 동물을 말해요. 유인원은 다시 몸집이 작은 긴팔원숭이과 동물과, 몸집이 크고 두 발로 걸을 수 있는 사람과로 나뉘지요.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10
중에서도 가장 연구가 안 돼 있는 분류군이다.“이름에 여치가 들어있지만 여치와는
습성
이 완전히 달라요. 꽃가루를 옮겨서 수분시키는 녀석도 있어요. 이것 보세요.” 스마트폰을 휙휙 넘기더니 영어논문을 꺼내 보여준다. “2009년 나온 어리여치 신종이에요. 메뚜기목 중에서 꽃가루받이를 하는 ... ...
바지락 VS 꼬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
4㎝, 두께는 3㎝ 정도로 크기가 작지만 성장과 번식이 빨라요. 또 이동을 거의 하지 않는
습성
이라 양식으로 많이 길러져요. 여름철 산란을 대비해 3~4월에 크게 자라기 때문에 봄에 먹는 바지락의 살이 통통하고 맛이 좋지요.육식성 조개인 큰구슬우렁이는 바지락을 좋아해요. 바닷가에서 발견되는 ... ...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
새’는 바로 제비예요. 그런데 많은 새 중에서 왜 하필 제비가 나오는 걸까요? 제비의
습성
을 알고 나면 그 이유를 알 수 있을 거예요!사람이 사는 곳에 제비가 몰리는 이유을 보면 어느 날 커다란 구렁이가 처마에 있는 제비 둥지를 공격해요. 이 모습을 본 흥부는 재빨리 구렁이를 쫓아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
과학동아
l
201506
교수가 웃으며 대답했다. “여기는 동물학과가 아니라 기계공학과입니다. 저희는 동물의
습성
을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독특한 기능을 연구합니다.” 기대는 와장창 무너졌지만 기계공학과 동물의 만남이란 말이 구미를 당겼다. 정 교수는 자신의 연구 분야를 ‘생체모방공학’이라고 불렀다 ... ...
Bridge. ‘새의 왕국’ 불러온 진화 빅뱅
과학동아
l
201505
폭넓게 적응한, 성공한 생명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조류는 종류가 다양한 만큼 형태와
습성
도 제각각인데, 워낙 짧은 기간에 폭발적으로 분화한 탓에 그동안 진화관계가 뒤죽박죽 얽혀 있었다. 최근 한국과 중국, 덴마크 등 20개국 국제공동연구진은 현대 조류를 대표하는 48종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 ...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설명하는 바닷가재의 헤엄
수학동아
l
201505
생각해보니, 헤엄다리가 만든 파동을 마치 파도타기 응원을 하듯 머리로 전달하는
습성
이 떠올랐어요. 그래서 몸이 무거워도 헤엄을 칠 수 있었나 봐요.이 헤엄 기술은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하던데, 평소 수학에 관심이 있었나요?연구팀은 저의 헤엄 기술이 얼마나 수학적인지 알아보기 ... ...
개구리가 추운 경칩에 깨어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
먹이가 별로 없지요. 그래서 경칩에 깨어난 개구리들은 동족을 잡아먹는 ‘동족포식’
습성
이 있어요. 알은 대부분 낳은 순서대로 올챙이가 되기 때문에, 나중에 산란한 개체의 알은 먼저 깨어난 올챙이에게 잡아먹히기 일쑤지요. 이 때문에 경칩에 깨어나는 개구리는 동족포식을 피하기 위해 불과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