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출량
수확고
수량
생산고
d라이브러리
"
수확량
"(으)로 총 86건 검색되었습니다.
가뭄·냉해 잘 견디는 감자와 고구마
과학동아
l
200411
스트레스에 잘 견디는 유전자조작 감자와 고구마를 개발했다고 10월 13일 밝혔다. 작물
수확량
은 가뭄과 냉해, 고온 등 외부 환경에서 받는 스트레스 때문에 최대 30%까지 줄어들 수 있어 이번 연구는 국내 농업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연구팀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대서’ 감자와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06
울릉도 어촌계의 관계자는 “5년 전에 비해 전복 해삼 성게 소라 같은 해양 부착동물들의
수확량
이 3분의 1로 줄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필자는 울릉도 연안을 배로 한바퀴 둘러보고 난 뒤에야 그분의 말을 이해할 수 있었다. 수중뿐만 아니라 연안의 암반은 하얀 띠로 둘러 싸여 있었고 암반 위에 ... ...
꽃피는 시기조절 유전자 한국인이 규명
과학동아
l
200402
함으로써 봄에 밀을 심어 늦여름에 수확할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옛소련의 밀
수확량
이 엄청나게 늘어날 수 있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가 농작물의 춘화처리 과정을 개선시켜 생산량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또한 네이처는 인간을 포함한 다른 생물에서 발견되는 유사한 ... ...
② 시험관에서 이뤄지는 DNA 진화
과학동아
l
200304
하고 있다. 사실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공급받고 있는 많은 것들은 지난 세기동안 더나은
수확량
과 인간이 원하는 형질을 얻기 위해 생물체를 서로 교배시키는 연속적인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이다.생명체의 본질이 DNA라고 밝혀진 이후, 인간은 육종기술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게 됐다. ... ...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01
또다른 업적으로는 활발해진 게놈 해독이 뽑혔다. 특히 벼의 게놈 해독은 쌀의 영양도와
수확량
을 높여 인류의 식량난 해결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로 주목받았다. 말라리아 기생충과 모기의 게놈 해독 역시 새로운 모기 퇴치제와 말라리아 백신 개발의 가능성으로 크게 평가받았다. 또한 ... ...
2. 금싸라기 유전자 발굴하는 DNA칩
과학동아
l
200206
잡초만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잡초가 양분을 덜 빼앗아 제초제 저항성 콩은
수확량
이 많다. 해충 저항성 작물도 마찬가지다. 해충을 제거하는 독성 단백질을 생산하는 미생물(Bacillus thuringiensis)의 유전자를 식물에 이식시킴으로써 해충이 먹지 않는 해충 저항성 작물이 만들어졌다.작물은 ... ...
1. 비타민A 대량 함유한 황금쌀
과학동아
l
200206
대부분의 형질전환 작물은 제초제나 해충 저항성 작물들로 생산 원가를 절감하거나
수확량
을 증가시키는데 목적이 있는 제1세대형 작물이다. 곧 닥쳐올 제2, 3세대형 작물의 경우 특정 영양 또는 건강기능성을 향상시켜 부가가치를 증가시킬 신품종이 지속적으로 개발 보급될 전망이다. 비타민A가 ... ...
3. 인류 절반의 식량 벼 게놈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206
개량의 아버지 유안 롱핑 박사가 20년 전 육성한 것이다. LYP9은 다른 품종에 비해 20-30%
수확량
이 많아 지금도 중국 남부지역에서 가장 인기가 좋은 품종이다. 중국은 이번에 만든 게놈지도를 토대로 유전자 차원에서 다수확의 비밀을 밝혀낸다는 계획이다. 다국적 농생명공학기업인 신젠타는 ... ...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차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12
후에 다시 올라오는 차 싹과 싹 아래 두번째 잎까지 수확한다. 싹만 채엽했을 때보다
수확량
이 많아 가격 부담이 덜하다. 대규모의 다원에서는 이른봄부터 초여름까지 수확하는 찻잎을 적정 아미노산 함량이 유지되도록 혼합해 티백을 제조하기 때문에 잎차에 비해 맛과 품질, 효능이 떨어지지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
과학동아
l
200104
심한 바람으로 벼잎에 난 작은 상처를 통해 침투해 염록소를 파괴하기 때문에 심할 경우
수확량
이 20-30%나 줄어든다. 연구자들은 게놈을 분석해 질병이 일어나는 원인을 밝히면 이 박테리아에 저항성을 갖는 벼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올해 초 생명공학연구원과 공동으로 위장병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