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피소드
일러스트레이션
여담
뒷얘기
에피소우드
비녜트
도해
d라이브러리
"
삽화
"(으)로 총 49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지 않고 그린 코뿔소가 세상을 속이다
과학동아
l
200302
이렇듯 그 자신이 훌륭한 식물학자였던 것입니다.뒤러의 사실적인 묘사법은 동식물의
삽화
로 과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르네상스기에는 동식물을 사실적으로 그린 책들이 많이 출간됐습니다. 과학자들은 이를 바탕으로 동식물을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었습니다. 당시의 대표적인 ... ...
연극 무대 위로 올라간 과학자
과학동아
l
200209
것이다. 주라시 교수는 “라부아지에의 아내는 남편의 실험을 돕기도 했으며 책의
삽화
와 번역을 담당한 진정한 ‘근대 여성’의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반면 프리스틀리의 아내는 교육을 많이 받기는 했지만 남편의 반대로 집안에 머물러야 했다. 셸레의 아내는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한 ... ...
엽기적인 X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04
은밀한 행위를 훔쳐보는
삽화
가 실린 것이다. 물론 현실성이 없는 상상으로 그린
삽화
였지만 당시에는 밀폐된 방에서의 행위가 노출된다는 내용만으로도 쇼킹한 사건이었다. 곧이어 이러한 내용은 강력한 호기심의 대상으로 떠올랐다.1896년 9월 8일자 뉴욕의 ‘일렉트리컬 엔지니어링’(Electrical ... ...
두명의 과학자와 결혼한 여성 - 마담 라부아지에
과학동아
l
200202
집필했던 ‘화학의 기초’(Traite elementaire de chimie)에 포함된 13페이지의 동판
삽화
를 손수 그려줬다. 뿐만 아니라 그녀는 당시 유명한 화학교재인 리차드 커원(Richard Kirwan)의 ‘필로지스톤설’(Essay on Philogiston)을 영어로 번역해 남편을 도와줬고, 남편이 익숙하지 않았던 영어로 라부아지에의 ...
달은 매일 어떻게 뜨고 지나
과학동아
l
200104
것이다. 따라서 두 검객이 자정에 만나 결투를 하는 영화장면이나 깊은 밤을 배경으로 한
삽화
에 초승달이 등장해서는 절대 안된다. 또한 초승달은 하늘 높이 떠 있게 그려도 안된다. 이처럼 잘못 인용되는 달의 모습을 우리 주위에서 얼마든지 발견할 수 있다. 이번 호에서는 달의 운동에 대해 ... ...
2. 20대 박사 양성하는 과학영재교육
과학동아
l
200101
별도 마련된다. 그런데 여기서도 최근 북한의 어려운 상황을 볼 수 있다. 활자나 구성,
삽화
가 거칠고, 종이가 부서질 정도로 질이 나쁘다. 또한 김일성과 김정일의 교시가 교과서 맨 첫머리를 장식하는 것도 여느 교과서와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제1고등중학교 화학4에는 '경애하는 수령 ... ...
진리탐구의 시금석 연금술의 지혜
과학동아
l
199805
정신적 육체적인 순결을 강조했다.중국의 연금술 서적에는 흔히 위백양의 이야기가
삽화
로 그려지는데, 거기에는 빠지지 않고 그의 개가 등장한다. 연금술이 믿음과 충직 없이는 아무도 얻을 수 없는 지혜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것이다.시금석이라는 말이 있다. 흔히 가치를 분별해주는 기회나 ... ...
르네상스) 몽상이 창조한 기괴한 기계
과학동아
l
199804
지나치게 거대하고 복잡한 투석기와 물펌프 따위가 수없이 설계됐다.이 기괴한 설계도를
삽화
로 담은 저작들은 1400-1600년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지에서 급속히 출판됐다. 물론 당시의 기술 수준으로 그런 기계를 만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흥미로운 점은 당시 몽상가들은 실제로 기계를 제작할 ... ...
5. 바벨탑의 전설
과학동아
l
199801
하늘까지 오르려면 어떤 구조로 건설해야 하는지는 더욱 궁금한 일이었다. 중세시대의
삽화
를 보면 상상력으로 그린 바벨탑이 여러가지로 등장한다.그러나 바벨탑은 상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실재로 존재하는 탑이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에는 지구라트라는 건축물이 존재한다. 바벨탑은 ... ...
Ⅱ. 블랙홀 과학사 : 2. 허블우주망원경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705
개념들이 쉽게 이해되는 것은 대중 경험이 바탕이 된 까닭이다. 특히 책속에 나오는
삽화
들은 저자가 자신의 모습을 넣어 직접 그린 것이다.블랙홀을 읽으면서 이 시대 최고의 과학스타이자, 블랙홀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던 스티븐 호킹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말도 못하고 걸을 수도 없는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