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복제"(으)로 총 8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대칭 도형 그리기수학동아 l201611
- 복제본에서 동시에 그림을 그립니다.➐ 마우스 클릭을 멈추면 연필 오브젝트와 복제본에서 동시에 그리기를 멈춥니다.엔트리 홈페이지(play-entry.org) ‘학습하기’ 코너에서 ‘오픈 강의’를 클릭한 뒤 검색창에 ‘수학동아 11월호’를 검색해 보세요! 그러면 대칭 프로그램을 조금 더 쉽게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10
- 지내는 동안 티타임과 저녁에 펍에서 나눈 대화를 통해 (일생의 연구 주제인) DNA 복제와 RNA 전사, 그리고 단백질 합성이라는 일련의 과정이 일어나는 원리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밝힌 바 있다.1996년부터 2006년까지 연구소 소장을 지낸 리처드 핸더슨 박사(그룹 리더)는 “스타이츠 교수와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10
- 하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낸다면, 그 유전자는 다른 개체의 몸 안에 들어 있는 자신의 복제본만 콕콕 집어서 도와주는 셈이므로 자연 선택될 수 있다. 1976년에 리처드 도킨스는 개체로 하여금 녹색 수염이 나게 하는 한편, 녹색 수염이 난 사람만 도와주는 가상의 유전자를 예로 들었다. 그 후 이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10
- 있었다. 프라이머는 목표 유전자의 원하는 부위에 달라붙어서 DNA중합효소가 유전자를 복제하게 만들어 준다. 그런데 유전자 맞춤형 프라이머를 제작하는 게 너무 어려웠다. 3만~ 4만 개인 사람의 유전자에는 달라붙지 않으면서 목표로 하는 병원체의 유전자에만 달라붙는 정밀한 프라이머를 ... ...
- [과학뉴스] 세포 운명 결정짓는 대사물질 발견과학동아 l201609
-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을 생성하는 효소를 감소시키면 줄기세포의 전분화능과 자가 복제에 심각한 손상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줄기세포 분화 초기에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의 양을 증가시키면 줄기세포 분화가 지연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는 대사물질의 양적 변화가 줄기세포 분화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09
- 구해보자. 형의 몸 속에 있는 어느 대립유전자가 배다른 동생의 몸 안에 자신의 ‘진짜 복제본’이 들어 있을 가능성을 살핀다. 가능성은 딱 하나다. 이 대립유전자가 형의 친엄마가 아닌 아빠로부터 왔고, 또 아빠가 50%의 확률로 이 대립 유전자를 동생에게 줬어야 한다. 즉, 배다른 형제간의 r은 (0.5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08
- 도와줘서 남기게 되는 유전자의 복제본 개수(rb)가 행위자에게 해를 끼쳐서 줄어드는 복제본 개수(c)보다 많아야 이타적 행동은 선택된다. 두 개체 사이의 근연도(r)가 높을수록, 그리고 이타적 행동이 효율적이어서 손실 대비 이득(b/c)이 클수록 이 유전자는 선택되기 쉽다(구체적 사례는 왼쪽 박스 ... ...
- [과학뉴스] 모기에 놀란 백혈구가 바이러스 키운다과학동아 l201608
- 연구팀은 염증반응으로 모인 백혈구들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바이러스 유전자를 복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염증반응이 없는 부위에서는 바이러스 증식이 잘 일어나지 않았다.맥킴미 교수는 “모기에 물렸을 때 염증반응을 억제해 백혈구 수를 조절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도 낮출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07
- ATP의 2%를 쓰고, 유전자로 단백질을 번역하는 과정에 75%를 쓴다. 유전자가 다섯 배가 되면 복제에는 전체 ATP의 10%, 번역에는 375%가 필요하게 돼 세포가 혼자 만들 수 있는 ATP를 훌쩍 초과한다.여기서 끝이 아니다. 유전자가 늘어난 만큼 번역을 더 많이 해야 되고, 번역을 할 단백질 공장이 더 많이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07
- 규칙이라는 같은 결과를 낸다. 둘 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만드는 유전자가 남기는 복제본의 개수를 정확히 세도록 해준다. 즉, 자연 선택은 각 개체의 포괄-적합도(혹은 이웃-조정 적합도)를 최대화한다.여기까지 이해했다면 일단 핵심은 파악한 셈이다. 다음 화에서 해밀턴의 법칙과 유전적 근연도를 ... ...
이전12345678 다음